'18. 태도서관, 정보의 밭. 씨앗/18.5. 논어 BC552 노 ~ BC479년 노 공자 혹은 공부자' 카테고리의 글 목록<script async src="https://pagead2.googlesyndication.com/pagead/js/adsbygoogle.js"></script> <!-- 가로 배너3 큰 모바일 배너 320X100 --> <ins class="adsbygoogle" style="display:inline-block;width:320px;height:100px" data-ad-client="ca-pub-5075237022023531" data-ad-slot="1591600305"></ins> <script> (adsbygoogle = window.adsbygoogle || []).push({}); </script>
본문 바로가기

18. 태도서관, 정보의 밭. 씨앗/18.5. 논어 BC552 노 ~ BC479년 노 공자 혹은 공부자

논어:공자. 陽貨第十七(양화제십칠)26,微子第十八(미자제십팔)11, 子張第十九(자장제십구)25, 堯曰第二十(요왈제이십) 3 陽貨第十七(양화제십칠) 陽貨欲見孔子(양화욕견공자)어늘 : 양화가 공자를 마나려고 했으나 孔子不見(공자불견)하신대 : 공자께서 만나지 아니하셨는데 歸孔子豚(귀공자돈)이어늘 : 공자에게 돼지를 보내니 孔子時其亡也而往拜之(공자시기망야이왕배지)러시니 : 공자께서 그 없음을 틈타서 사례하려고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遇諸塗(우제도)하시다 : 그를 길에서 만나니 謂孔子曰來(위공자왈래)하라 : 공자에게 말하기를, “오라 予與爾言(여여이언)하리라 : 내가 당신과 말하리라.”고 하니 曰懷其寶而迷其邦(왈회기보이미기방)이 : 이르기를, “그 보배를 품어서 그 나라를 미혹케 하는 것이 可謂仁乎(가위인호)아 : 인이라고 이르는가.”고 하니 曰不可(왈불가)하다 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옳지 않다.”고 하셨다. 好從事而?失時(호종사이.. 더보기
논어:공자. 憲問第十四(헌문제십사)47. 衛靈公第十五(위령공제십오)41,季氏第十六(계씨제십육)14 憲問第十四(헌문제십사) : 憲問恥(헌문치)한 대子: 원헌이 수치를 물으니, 曰邦有道(왈방유도)에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나라에 도가 있을 때 穀(곡)하며: 녹만 먹는 것과 邦無道(방무도)에: 나라에 도가 없을 때 穀(곡)이: 녹만 먹는 것이 恥也(치야)니라: 부끄러운 것이다.”고 하셨다. 克伐怨欲(극벌원욕)을: 원헌이 말하기를, “이기길 좋아하고 자랑하며, 원망하고, 탐욕함을 不行焉(불행언)이면: 행하지 아니하면 . 可以爲仁矣(가이위인의)잇가: 어질다고 하겠습니까.”고 하니 子曰可以爲難矣(자왈가이위난의)어니와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어렵다고 하겠지만 仁則吾不知也(인칙오불지야)로라: 어진 것은 내가 알지 못 하겠다.”고 하셨다. 子曰士而懷居(자왈사이회거)면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선비로서 편안한 것을 생각.. 더보기
논어:공자. 先進第十一(선진제십일)25, 顔淵第十二(안연제십이)24,子路第十三(자로제십삼)30. 11先進第十一(선진제십일) 子曰先進(자왈선진)이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옛날 선비의 於禮樂(어례락)에: 예와 악은 野人也(야인야)요: 질박한 사람답고 後進(후진)이: 지금 선비의 於禮樂(어례락)에: 예와 악은 君子也(군자야)라하나니: 문채로 나타남이 군자답다고 하나 如用之則吾從先進(여용지칙오종선진)하리라: 만일 쓴다면 나는 옛날 선비를 따를 것이다.”고 하셨다. 子曰從我於陳蔡者皆不及門也(자왈종아어진채자개불급문야)로다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나를 진과 채에서 따르던 자가 다 문하에 있지 않구나! 德行(덕행)엔: 덕행에는 顔淵閔子騫?伯牛仲弓(안연민자건염백우중궁)이요: 안연과 민자건과 염백우와 중궁이요, . 言語(언어)엔: 宰我子貢(재아자공)이요: 언어에는 재아와 자공이요, 政事(정사)엔: 정사에는 ?有季路(.. 더보기
논어:공자 述而第七(술이제칠)37.泰伯第八(태백제팔)30.鄕黨第 十(향당제십) 述而第七(술이제칠) 子曰述而不作(자왈술이불작)하며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옛 것을 풀이하고 창작하지 아니하며 信而好古(신이호고)를: 믿어서 옛 것을 좋아하는 것을 竊比於我老彭(절비어아로팽)하노라: 그윽히 우리 노팽에게 비유할 것이다.”고 하셨다. 子曰?而識之(자왈묵이식지)하며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묵묵히 진리를 알아내며 學而不厭(학이불염)하며: 배워서 싫어하지 않고 誨人不倦(회인불권)이: 사람들을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何有於我哉(하유어아재)오: 어찌 나에게 있겠느냐.”고 하셨다. 子曰德之不修(자왈덕지불수)와: 공자 말씀하시기를, “덕을 닦지 못하는 것과 學之不講(학지불강)과: 배움을 강하지 못하는 것과 聞義不能徙(문의불능사)와: 의를 듣고 능히 옮기지 못한며 不善不能改(불선불능개)가: 착하.. 더보기
논어: 공자 里仁第四(이인제사) 26,公冶長第五(공야장제오)27, 雍也第六(옹야제육)28. 子曰里仁(자왈리인)이 :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, “마을이 서로 사랑함이 爲美(위미)하니 : 아름다우니, 擇不處仁(택불처인)이면 : 어진 곳을 골라서 살지 않으면 焉得知(언득지)리오 : 어찌 지혜로우리오?”고 하셨다. 子曰不仁者(자왈불인자)는 :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, “어질지 아니한 자는 不可以久處約(불가이구처약)이며 : 그 때문에 곤궁함에 오래 처할 수 없으며 不可以長處樂(불가이장처락)이니 : 즐거움에도 오래 처하지 못한다. 仁者(인자)는 : 어진 사람은 安仁(안인)하고 : 어질음에 편안하고 知者(지자)는 : 지혜로운 자는 利仁(리인)이니라 : 어진 것을 잘이용한다.“고 하셨다. 子曰唯仁者(자왈유인자)아 :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, “오직 어진 자라야 能好人(능호인)하며 :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能惡人.. 더보기
논어 八佾第三(팔일제삼) 공니 지음. 八佾第三(팔일제삼) 孔子謂季氏(공자위계씨)하시되 : 공자가 계씨에게 말씀하시기를, 八佾(팔일)로 : 팔일무를 舞於庭(무어정)하니 : 뜰에서 추시니 是可忍也(시가인야)면 : 이것을 차마 한다면 孰不可忍也(숙불가인야)리오 : 무엇인들 차마 하지 못할 것인가. 三家者以雍徹(삼가자이옹철)이러니 : 세 대부의 집에서 천자의 제례인 으로서 마치니 子曰相維?公(자왈상유벽공)이어늘 : 공자 말씀하시기를, 제후를 돕는 천자의 모습과 天子穆穆(천자목목)을 : 천자의 온화한 모습을 奚取於三家之堂(해취어삼가지당)고 : 어찌 세 대부의 집에서 취할 수 있겠는가. 子曰人而不仁(자왈인이불인)이면 : 공자 말씀하시기를, 사람으로 어질지 아니하면 如禮何(여례하)며 : 예는 해서 무엇 하며 人而不仁(인이불인)이면 : 사람으로서 어질지 .. 더보기
공자. 논어 전문 學而第一(학이제일) 논어 공자의 지혜. 룬어. 귀중한 말을 제자들이 옮겨적은 논어. 學而第一(학이제일) 子曰學而時習之(자왈학이시습지)면 : 공자가 말씀하시기를, 배우고 때때로 이를 익히면 不亦說乎(불역열호)아 :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. 有朋自遠方來(유붕자원방래)면 : 벗이 있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면 不亦樂乎(불역락호)아 :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. 人不知而不?(인불지이불온)이면 : 남이 알아주지 아니해도 화내지 않으면 不亦君子乎(불역군자호)아 :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. 有子曰其爲人也孝弟(유자왈기위인야효제)요 : 유자가 말하기를,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손한데도 而好犯上者鮮矣(이호범상자선의)니 : 윗람을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. 不好犯上(불호범상)이요 :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고서도 而好作亂者未之有也(이호작란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