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01
始祖赫居世居西干(시조혁거세거서간;B.C57~5 재위기간 61년)
始祖姓朴氏(시조성박씨) : 시조의 성은 박씨이며,
諱赫居世(휘혁거세) : 이름은 혁거세이다.
前漢孝宣帝五鳳元年甲子四月丙辰卽位(전한효선제오봉원년갑자사월병진즉위) : 전한 효선제 오봉 원년 갑자 4월 병진에 왕위에 올랐다.
(一曰正月十五日(일왈정월십오일) : ) [정월 15일 이라고도 한다.]
號居西干(호거서간) : 왕호는 거서간이다.
時年十三(시년십삼) : 이 때 나이는 열 세 살이었으며
國號徐那伐(국호서나벌) : 나라 이름은 서라벌이었다.
先是(선시) : 이보다 앞서
朝鮮遺民分居山谷之間(조선유민분거산곡지간) : 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에 분산되어 살면서
爲六村(위육촌) : 여섯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.
一曰閼川楊山村(일왈알천양산촌) : 첫째는 알천의 양산촌이라 하고,
二曰突山高墟村(이왈돌산고허촌) : 둘째는 돌산의 고허촌이라 하고,
三曰?山珍支村(삼왈자산진지촌) : 셋째는 취산의 진지촌이라 하고,
(或云干珍村(혹운간진촌) : ) [혹은 간진촌이라고도 한다.]
四曰茂山大樹村(사왈무산대수촌) : 넷째는 무산의 대수촌이라 하고,
五曰金山加利村(오왈금산가리촌) : 다섯째는 금산의 가리촌이라 하고,
六曰明活山高耶村(육왈명활산고야촌) : 여섯째는 명활산의 고야촌이라고 하였다.
是爲辰韓六部(시위진한육부) : 이것이 진한 6부가 되었다.
高墟村長蘇伐公望楊山麓 고허촌장 소벌공이 양산 기슭을 바라보니
蘿井傍林間(라정방림간) : 나정 옆의 숲 사이에
有馬?而嘶(유마궤이시) : 말이 꿇어 앉아 울고 있었다.
則往觀之(칙왕관지) : 그가 즉시 가서 보니
忽不見馬(홀불견마) : 말은 갑자기 보이지 않고
只有大卵(지유대란) : 다만 큰 알이 있었다.
剖之(부지) : 이것을 쪼개자
有?兒出焉(유영아출언) : 그 속에서 어린아이가 나왔다.
則收而養之(칙수이양지) : 그는 이 아이를 거두어 길렀다.
及年十餘歲(급년십여세) : 아이의 나이 10여 세가 되자
岐?然夙成(기억연숙성) : 지각이 들고 영리하며 행동이 조신하였다.
六部人以其生神異(육부인이기생신이) : 6부 사람들이 그의 출생을 기이하게 여겨
推尊之(추존지) : 높이 받들다가,
至是立爲君焉(지시입위군언) : 이 때에 이르러 임금으로 삼은 것이다.
辰人謂瓠爲朴(진인위호위박) : 진한 사람들은 호(匏)를 "박"이라고 하였는데,
以初大卵如瓠(이초대란여호) : 처음의 큰 알이 박의 모양과 비슷하게 생겼으므로
故以朴爲姓(고이박위성) : 그의 성을 박이라고 하였다.
居西干(거서간) : 거서간을
辰言王(진언왕) : 진한에서는 왕이라고 하였다.
(或云呼貴人之稱(혹운호귀인지칭) : ) [혹은 귀인을 칭하는 말이라고도 한다.]
四年夏四月辛丑朔(사년하사월신축삭) : 4년 여름 4월 초하루 신축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五年春正月(오년춘정월) : 5년 봄 정월,
龍見於閼英井(용견어알영정) : 용이 알영 우물에 나타나서
右脇誕生女兒(우협탄생여아) : 오른 쪽 옆구리로 여자아이를 낳았다.
老?見而異之(노구견이이지) : 한 노파가 이를 보고 기이하게 여겨
收養之(수양지) : 데려다 길렀다.
以井名名之(이정명명지) : 우물 이름으로 그녀의 이름을 지었다.
及長有德容(급장유덕용) : 그녀는 자라면서 덕스러운 용모를 갖추었다.
始祖聞之(시조문지) : 시조가 이를 듣고
納以爲妃(납이위비) : 그녀를 왕비로 받아들였다.
有賢行(유현행) : 그녀는 행실이 어질고
能內輔(능내보) : 내조가 훌륭하여
時人謂之二聖(시인위지이성) : 당시 사람들이 두 사람의 성인이라고 불렀다.
八年(팔년) : 8년,
倭人行兵(왜인행병) : 왜인이 군사를 동원하여
欲犯邊(욕범변) : 변경을 침범하려다가,
聞始祖有神德(문시조유신덕) : 시조에게 하늘에서 내려준 덕이 있다는 말을 듣고
乃還(내환) : 돌아갔다.
九年春三月(구년춘삼월) : 9년 봄 3월
有星?于王良(유성패우왕양) : 왕량 성좌에 혜성이 나타났다.
十四年夏四月(십사년하사월) : 14년 여름 4월,
有星?于參(유성패우참) : 삼성 성좌에 혜성이 나타났다.
十七年(십칠년) : 17년,
王巡撫六部(왕순무육부) : 왕이 6부를 순행하며 위문하는 길에,
妃閼英從焉(비알영종언) : 왕비 알영도 수행하였다.
勸督農桑(권독농상) : 백성들에게 농사와 양잠을 권하고,
以盡地利(이진지리) : 농토를 충분히 이용하도록 하였다.
十九年春正月(십구년춘정월) : 19년 봄 정월,
卞韓以國來降(변한이국래항) : 변한이 나라를 바치고 항복해왔다.
二十一年(이십일년) : 21년,
築京城(축경성) : 서울에 성을 쌓고
號曰金城(호왈금성) : 금성이라고 불렀다.
是歲(시세) : 이 해에
高句麗始祖東明立(고구려시조동명립) : 고구려 시조 동명이 왕위에 올랐다.
二十四年夏六月壬申晦(이십사년하육월임신회) : 24년 여름 6월 그믐 임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二十六年春正月(이십육년춘정월) : 26년 봄 정월,
營宮室於金城(영궁실어금성) : 금성에 궁실을 지었다.
三十年夏四月己亥晦(삼십년하사월기해회) : 30년 여름 4월 그믐 기해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樂浪人將兵來侵(락랑인장병래침) : 낙랑 사람들이 군사를 동원하여 침범하려다가,
見邊人夜戶不?(견변인야호불경) : 국경 부근 사람들이 밤에도 문을 잠그지 않으며,
露積被野(로적피야) : 노적가리가 들에 가득 쌓인 것을 보고
相謂曰(상위왈) : 서로 말했다.
此方民不相盜(차방민불상도) :"이 지방 사람들은 서로 도둑질을 하지 않으니,
可謂有道之國(가위유도지국) : 도덕이 있는 나라라고 할만하다.
吾?潛師而襲之(오제잠사이습지) : 우리가 이러한 사람들을 군대로 몰래 기습한다는 것은
無異於盜(무이어도) : 도적과 다름없으니
得不愧乎(득불괴호) : 이는 부끄러운 일이 아닌가?"
乃引還(내인환) : 그들은 군사를 거두어 돌아갔다.
三十二年秋八月乙卯晦(삼십이년추팔월을묘회) : 32년 가을 8월 그믐 을묘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三十八年春二月(삼십팔년춘이월) : 38년 봄 2월에
遣瓠公聘於馬韓(견호공빙어마한) : 호공을 보내 마한을 예방하였다.
馬韓王讓瓠公曰(마한왕양호공왈) : 마한왕이 호공을 꾸짖으며 말했다.
辰卞二韓爲我屬國(진변이한위아속국) : "진한과 변한은 우리 나라의 속국인데,
比年不輸職貢(비년불수직공) : 근년에는 공물을 보내오지 않았소.
事大之禮(사대지례) : 대국을 섬기는 예절이
其若是乎(기약시호) : 이와 같은가요?"
對曰(대왈) : 호공이 대답하였다.
我國自二聖肇興(아국자이성조흥) : "우리 나라에 두 분의 성인이 출현하면서,
人事修(인사수) : 사회가 안정되고
天時和(천시화) : 천시가 조화를 이루어,
倉庾充實(창유충실) : 창고가 가득 차고,
人民敬讓(인민경양) : 백성들은 공경과 겸양을 알게 되었습니다.
自辰韓遺民(자진한유민) : 그리하여 진한의 유민들로부터
以至卞韓樂浪倭人(이지변한락랑왜인) : 변한, 낙랑, 왜인에 이르기까지
無不畏懷(무불외회) : 우리를 두려워하고 심복하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.
而吾王謙虛(이오왕겸허) :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임금이 겸손하여
遣下臣修聘(견하신수빙) : 저를 보내 귀국을 예방하게 하였으니,
可謂過於禮矣(가위과어예의) : 이는 오히려 지나친 예절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.
而大王赫怒(이대왕혁노) : 그런데 대왕께서 크게 성을 내고
劫之以兵(겁지이병) : 무력으로 위협하시니,
是何意耶(시하의야) :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?"
王憤欲殺之(왕분욕살지) : 왕이 분노하여 그를 죽이려 하였으나,
左右諫止(좌우간지) : 측근들이 간하여 이를 말리자
乃許歸(내허귀) : 그의 귀국을 허락하였다.
前此中國之人(전차중국지인) : 이보다 앞서 중국 사람들 중에
苦秦亂(고진란) : 진(秦)나라가 일으킨 난리로 말미암아 고통을 당하다가,
東來者衆(동래자중) : 동쪽으로 온 사람들이 많았다.
多處馬韓東(다처마한동) : 그들 가운데의 대부분은 마한 동쪽에서
與辰韓雜居(여진한잡거) : 진한 사람들과 함께 살았었는데,
至是?盛(지시침성) : 이 시기에 이르러 점점 번성하자
故馬韓忌之(고마한기지) : 마한이 이를 싫어하여
有責焉(유책언) : 이와 같이 책망했던 것이다.
瓠公者未詳其族姓(호공자미상기족성) : 호공이란 사람은 그 집안과 성씨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.
本倭人(본왜인) : 그는 본래 왜인이었는데,
初以瓠繫腰(초이호계요) : 처음에 박을 허리에 차고 .
度海而來(도해이래) : 바다를 건너 왔기 때문에
故稱瓠公(고칭호공) : 호공(匏公)이라고 불렀다
三十九年(삼십구년) : 39년,
馬韓王薨(마한왕훙) : 마한왕이 붕어하였다.
或說上曰(혹설상왈) : 어떤 사람이 왕에게 말했다.
西韓王前辱我使(서한왕전욕아사) : "서한왕이 이전에 우리 사신을 모욕했습니다.
今當其喪征之(금당기상정지) : 이제 그 국왕이 죽은 기회를 이용하여 공격하면,
其國不足平也(기국부족평야) : 그 나라를 충분히 평정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?"
上曰(상왈) : 왕이 말했다.
幸人之災(행인지재) : "다른 사람의 재난을 우리의 행복으로 여기는 것은
不仁也(불인야) : 어질지 못한 행위이다."
不從(불종) : 왕은 그 말을 듣지 않고,
乃遣使弔慰(내견사조위) : 곧 사신을 보내 조문하였다.
四十年(사십년) : 40년,
百濟始祖溫祚立(백제시조온조립) : 백제 시조 온조가 왕위에 올랐다.
四十三年春二月乙酉晦(사십삼년춘이월을유회) : 43년, 봄 2월 그믐 을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五十三年(오십삼년) : 53년,
東沃沮使者來獻良馬二十匹曰(동옥저사자래헌양마이십필왈) : 동옥저의 사신이 와서 좋은 말 20필을 바치며
寡君聞南韓有聖人出(과군문남한유성인출) : "우리 임금이 남한에 성인이 났다는 말을 들었기에
故遣臣來享(고견신래향) : 저를 보내 이를 바칩니다"라고 말했다.
五十四年春二月己酉(오십사년춘이월기유) : 54년, 봄 2월 기유에 혜성이
星?于河鼓(성패우하고) : 하고 성좌에 나타났다.
五十六年春正月辛丑朔(오십육년춘정월신축삭) : 56년, 봄 정월 초하루 신축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五十九年秋九月戊申晦(오십구년추구월무신회) : 59년, 가을 9월 그믐 무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六十年秋九月(육십년추구월) : 60년, 가을 9월,
二龍見於金城井中(이용견어금성정중) : 두 마리의 용이 금성 우물에 나타났다.
暴雷雨(폭뢰우) : 우레와 비가 심하고
震城南門(진성남문) : 성의 남문에 벼락이 쳤다.
六十一年春三月(육십일년춘삼월) : 61년, 봄 3월,
居西干升遐(거서간승하) : 거서간이 붕어하였다.
葬蛇陵(장사릉) : 사릉에 장사지냈다.
在曇巖寺北(재담암사북) : 사릉은 담암사 북쪽에 있다.
======================
002
제2대 남해 차차웅 (南解 次次雄 5~24 재위기간 19년)
南解次次雄立(남해차차웅립) : 남해 차차웅이 왕위에 올랐다.
(次次雄(차차웅) : [차차웅을
或云慈充(혹운자충) : 혹자는 자충이라고도 한다.
金大問云(금대문운) : 김대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.
方言謂巫也(방언위무야) : '자충은 방언으로는 무당이라는 뜻이다.
世人以巫事鬼神(세인이무사귀신) :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
尙祭祀(상제사) : 제사를 주관하였으므로
故畏敬之(고외경지) : 사람들이 무당을 두려워하고 존경하다가,
遂稱尊長者(수칭존장자) : 마침내 존경받는 어른을
爲慈充(위자충) : ) 자충이라고 부르게 되었다.']
赫居世嫡子也(혁거세적자야) : 그는 혁거세의 적자이다.
身長大(신장대) : 그는 체격이 장대하고
性?厚(성침후) : 성품이 침착하였으며
多智略(다지략) : 지략이 많았다
母閼英夫人(모알영부인) : 어머니는 알영부인이며,
妃雲帝夫人 왕비는 운제부인이다.
(一云阿婁夫人(일운아루부인) : ) [아루 부인이라고도 한다.]
繼父卽位(계부즉위) : 그는 아버지를 뒤이어 왕위에 올랐다.
稱元(칭원) : 이 해를 원년으로 하였다.
論曰(논왈) : 논하건대
人君卽位(인군즉위) : 임금이 즉위하고
踰年稱元(유년칭원) : 해를 넘어서 원년이라 칭하는 것은
其法詳於春秋(기법상어춘추) : 그 법이 춘추에 상세하니
此先王不刊之典也(차선왕불간지전야) : 이는 선왕의 고치지 못할 법전이었다
伊訓曰(이훈왈) : 이훈에는
成湯旣沒(성탕기몰) : '성탕이 돌아가시니
太甲元年(태갑원년) : 태갑 원년이라.'하였고
正義曰(정의왈) : 정의에는
成湯旣沒(성탕기몰) : '성탕이 돌아가니
其歲卽太甲元年(기세즉태갑원년) : 그 해를 곧 태갑 원년이라.'하 하였다.
然孟子曰(연맹자왈) : 그러나 <맹자>에는 '
湯崩(탕붕) : 탕이 돌아갔느데
太丁未立(태정미립) : 태정은 미립하고
外丙二年(외병이년) : 외병은 2년이고
仲壬四年(중임사년) : 중임은 4년이다.'하였으니
則疑若尙書之脫簡(칙의야상서지탈간) : 아마도 상서에는 탈간이 있고
而正義之誤說也(이정의지오설야) : 정의는 오설인 듯하다.
或曰(혹왈) : 혹자는 말하기를
古者人君卽位(고자인군즉위) : '옛날에는 임금이 즉위하면
或踰月稱元年(혹유월칭원년) : 혹은 달을 넘어 원년이라 칭하고
或踰年而稱元年(혹유년이칭원년) : 혹은 해를 넘어 원년이라 칭하였다.'하였는데
踰月而稱元年者(유월이칭원년자) : 달을 넘어 원년이라 칭한 것은
成湯旣沒(성탕기몰) : '성탕이 돌아가시니
太甲元年是也(태갑원년시야) : 태갑 원년이라.'한 것이 곧 이것이요
孟子云맹자운) : 맹자에
太丁未立者(태정미립자) : '태정은 미립하고'한 것은
謂太丁未立而死也(위태정미립이사야) : 태정은 입금 자리에서지 못하고 죽었다는 말이요
外丙二年(외병이년) : 또 "'외병 2년'이니 '
仲壬四年者(중임사년자) : 중임 4년'이니 한 것은
皆謂太丁之子(개위태정지자) : 모두 태정의 아들인
太甲二兄(태갑이형) : 태갑의 두 형이
或生二年(혹생이년) : 혹은 2년
或生四年而死(혹생사년이사) : 혹은 4년을 살다가 죽었으므로
太甲所以得繼湯耳(태갑소이득계탕이) : 태갑이 탕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한 까닭이라 할 것이다
史記便謂사기편위) : 그런데 <사기>가
此仲壬外丙爲二君(차중임외병위이군) : 중임과 외병을 2군으로 기록한 것은
誤也(오야) : 잘못이다
由前則以先君終年卽位稱元(유전즉이선군종년즉위칭원) : 그러므로 전자는 선군이 돌아간 해로써 즉위 원년이라 정한 것이니
非是(비시) : 옳지 못한 것이고
由後則可謂得商人之禮者矣(유후즉가위득상인지예자의) : 후자는 가히 상인의 예에 합당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
元年秋七月(원년추칠월) : 원년 가을 7월,
樂浪兵至(락랑병지) : 낙 랑 군사가 쳐들어와
圍金城數重(위금성수중) : 금성을 여러 겹으로 포위하였다.
王謂左右曰(왕위좌우왈) : 낙왕이 측근에게
二聖棄國(이성기국) : 두 분의 성인이 세상을 떠나시고
孤以國人推戴(고이국인추대) : " 내가 백성들의 추대로
謬居於位(류거어위) : 왕위에 올랐으나 이는 잘못된 일이다.
危懼若涉川水(위구야섭천수) : 조심스럽고 위태롭기가 물을 건너는 것과 같다.
今隣國來侵(금린국래침) : 지금 이웃 나라가 침범해오니,
是孤之不德也(시고지부덕야) : 이는 나에게 덕이 없는 탓이다.
爲之若何(위지야하) : 이를 어찌 하면 좋겠는가?"라고 말하였다.
左右對曰(좌우대왈) : 측근들이
賊幸我有喪(적행아유상) : "적은 우리 나라에 국상이 난 것을 요행으로 여기고
妄以兵來(망이병래) : 함부로 침범해왔으니,
天必不祐(천필불우) : 하늘은 절대 그들을 돕지 않을 것입니다.
不足畏也(부족외야) : 두려워할 것이 전혀 없습니다"라고 말하였다.
賊俄而退歸(적아이퇴귀) : 얼마 후에 그들이 물러갔다
三年春正月(삼년춘정월) : 3년, 봄 정월,
立始祖廟(립시조묘) : 시조묘를 건립하였다.
冬十月丙辰朔(동십월병진삭) : 겨울 10월 초하루 병진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五年春正月(오년춘정월) : 5년, 봄 정월,
王聞脫解之賢(왕문탈해지현) : 왕이 탈해가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
以長女妻之(이장여처지) : 자신의 장녀를 그에게 시집보냈다.
七年秋七月(칠년추칠월) : 7년 가을 7월,
以脫解爲大輔(이탈해위대보) : 탈해를 대보로 임명하고
委以軍國政事(위이군국정사) : 군사와 정치에 대한 사무를 맡겼다.
八年(팔년) : 8년,
春夏旱(춘하한) :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었다.
十一年(십일년) : 11년,
倭人遣兵船百餘?(왜인견병선백여소) : 왜인이 병선 100여 척을 보내
掠海邊民戶(약해변민호) : 해변의 민가를 약탈하였다.
發六部勁兵以禦之(발육부경병이어지) : 6부의 정병을 보내 이를 방어하였다.
樂浪謂內虛(락랑위내허) : 낙랑이 우리 나라의 내부에 빈틈이 있다고 보고,
來攻金城甚急(래공금성심급) : 금성을 공격하여오니 상황이 위급하였다.
夜有流星墜於賊營(야유류성추어적영) : 밤에 유성이 적의 진영에 떨어지자
衆懼而退(중구이퇴) : 적병이 두려워 하며 퇴각하다가
屯於閼川之上(둔어알천지상) : 알천가에 주둔하면서,
造石堆二十而去(조석퇴이십이거) : 돌무더기 20개를 쌓아놓고 물러갔다.
六部兵一千人追之(육부병일천인추지) : 6부 군사 1천 명이 그들을 추격하다가,
自吐含山東至閼川(자토함산동지알천) : 토함산 동쪽으로부터 알천에 이르러
見石堆知賊衆(견석퇴지적중) : 이 돌무더기를 보고는 적병이 많은 것으로 알고
乃止(내지) : 추격을 멈추었다.
十三年秋七月戊子晦(십삼년추칠월무자회) : 13년, 가을 7월 그믐 무자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十五年(십오년) : 15년,
京城旱(경성한) : 서울에 가뭄이 들었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에
蝗民饑(황민기) : 메뚜기 떼가 나타났다. 백성이 굶주리므로
發倉?救之(발창름구지) :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.
十六年春二月(십육년춘이월) : 16년 봄 2월,
北溟人耕田(북명인경전) : 북명 사람이 밭을 갈다가
得濊王印(득예왕인) : 예왕의 도장을 주워서
獻之(헌지) : 이를 왕에게 바쳤다.
十九年(십구년) : 19년,
大疫(대역) : 전염병이 크게 돌아 .
人多死(인다사) : 사람이 많이 죽었다
冬十一月(동십일월) : 겨울 11월,
無氷(무빙) : 얼음이 얼지 않았다.
二十年秋(이십년추) : 20년, 가을,
太白入太微(태백입태미) : 금성이 태미 성좌에 들어 갔다.
二十一年秋九月(이십일년추구월) : 21년, 가을 9월,
蝗王薨(황왕훙) : 메뚜기 떼가 나타났다. 왕이 붕어하였다.
葬蛇陵園內(장사릉원내) : 사릉원에 장사지냈다.
======================
003
제3대 유리 이사금 (儒理 尼師今 24~57 재위기간 33년)
儒理尼師今立(유리니사금립) : 유리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南解太子也(남해태자야) : 그는 남해의 태자이다.
母雲帝夫人(모운제부인) : 어머니는 운제부인이며,
妃日知葛文王之女也 왕비는 일지 갈문왕의 딸이다.
(或云(혹운) : [혹은
妃姓朴(비성박) : 왕비의 성은 박씨이며,
許婁王之女(허루왕지여) : ) 허루왕의 딸이라고도 한다.]
初南解薨(초남해훙) : 애초에 남해가 사망했을 때,
儒理當立(유리당립) : 유리가 당연히 왕위에 올라야 하는데,
以大輔脫解素有德望(이대보탈해소유덕망) : 유리는 대보 탈해가 본래 덕망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므로
推讓其位(추양기위) : 왕위를 그에게 사양하였다.
脫解曰(탈해왈) : 탈해는
神器大寶(신기대보) : "임금이라는 자리는
非庸人所堪(비용인소감) : 보통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.
吾聞聖智人多齒(오문성지인다치) : 훌륭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이가 많다고 들었습니다"라고 말하였다.
試以餠?之(시이병서지) : 그들은 시험삼아 떡을 깨물어 보았다.
儒理齒理多(유리치리다) : 그 결과 유리의 이 자국이 많았으므로
乃與左右奉立之(내여좌우봉립지) : 즉시 측근들과 함께 그를 받들어 왕위에 오르게 하고,
號尼師今(호니사금) : 왕호를 이사금이라 하였으니,
古傳如此(고전여차) : 옛부터 전해오는 말이 이와 같았다.
金大問則云(금대문칙운) : 김 대문은
尼師今(니사금) : "이사금은
方言也(방언야) : 방언이다"라고 말했다.
謂齒理(위치리) : '이사금'은 곧 '이의 자국'이란 말이다.
昔南解將死(석남해장사) : 이전에 남해가 죽음을 앞두고,
謂男儒理壻脫解曰(위남유리서탈해왈) : 아들 유리와 사위 탈해에게
吾死後(오사후) : "내가 죽은 뒤에는
汝朴昔二姓(여박석이성) : 너희들 '박'과 '석' 두 성을 가진 사람 중에
以年長而嗣位焉(이년장이사위언) : 나이 많은 자가 왕위를 이으라"고 말했었다.
其後(기후) : 그러나 후에
金姓亦興(금성역흥) : 김씨 성이 또한 흥기하였으므로,
三姓以齒長相嗣(삼성이치장상사) : 세 성씨들 중에 나이 많은 자를 선택하여 왕위를 잇도록 하였다.
故稱尼師今(고칭니사금) : 이러한 이유로 왕을 이사금이라고 불렀다.
二年春二月(이년춘이월) : 2년, 봄 2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죄수들을 .
大赦(대사) : 크게 사면하였다
五年冬十一月(오년동십일월) : 5년, 겨울 11월,
王巡行國內(왕순행국내) : 왕이 국내를 순행하다가
見一老?飢凍將死曰(견일로구기동장사왈) : 어떤 노파가 굶주림과 추위로 죽어가는 것을 보고
予以?身居上(여이묘신거상) : "내가 세상을 똑바로 보지 못하는 몸으로 왕위에 앉았으나,
不能養民(불능양민) : 백성을 먹여 살릴 수 없고,
使老幼至於此極(사로유지어차극) : 노인과 어린이로 하여금 이토록 극한 상황에 이르게 하였으니,
是予之罪也(시여지죄야) : 이는 나의 죄이다"라고 말하고,
解衣以覆之(해의이복지) : 옷을 벗어 덮어 주고
推食以食之(추식이식지) : 밥을 주어 먹게 하였다.
仍命有司(잉명유사) : 그리고 관리에게 명하여
在處存問鰥寡孤獨(재처존문환과고독) : 현지에서 홀아비, 과부, 고아, 자식 없는 노인들을 위문하게 하고,
老病不能自活者(로병불능자활자) : 늙고 병들어 혼자의 힘으로 살아 갈 수 없는 자들을
給養之(급양지) : 부양하게 하였다.
於是(어시) : 이렇게 되자
隣國百姓聞而來者衆矣(린국백성문이래자중의) : 이웃 나라의 백성들이 이 소식을 듣고 오는 자들이 많았다.
是年(시년) : 이 해에
民俗歡康(민속환강) : 백성들의 생활이 즐겁고 편안하여
始製兜率歌(시제두률가) : 처음으로 도솔가를 지었다.
此歌樂之始也(차가락지시야) : 이것이 노래 가사의 시작이었다.
九年春(구년춘) : 9년 봄,
改六部之名(개육부지명) : 6부의 이름을 고치고
仍賜姓(잉사성) : 성을 하사하였다.
楊山部爲梁部(양산부위양부) : 양산부는 양부로 고쳤으며
姓李(성이) : 성은 이씨이고,
高墟部爲沙梁部(고허부위사양부) : 고허부는 사량부로 고쳤으며
姓崔(성최) : 성은 최씨,
大樹部爲漸梁部(대수부위점양부) : 대수부는 점량부로 고쳤으며
(一云牟梁(일운모양) : ) [모량이라고도 한다.]
姓孫(성손) : 성은 손씨,
干珍部爲本彼部(간진부위본피부) : 간진부는 본피부로 고쳤으며
姓鄭(성정) : 성은 정씨,
加利部爲漢祇部(가리부위한기부) : 가리부는 한기부로 고쳤으며
姓裴(성배) : 성은 배씨,
明活部爲習比部(명활부위습비부) : 명활부는 습비부로 고쳤으며
姓薛(성설) : 성은 설씨로 정하였다.
又設官有十七等(우설관유십칠등) : 또한 관직에 다음과 같은 17등급을 두었다.
一伊伐?(일이벌찬) : 1.이벌찬
二伊尺?(이이척찬) : 2.이척찬(이찬이라고 도함)
三??(삼잡찬) : 3.잡찬
四波珍?(사파진찬) : 4.파진찬
五大阿?(오대아찬) : 5.대아찬
六阿?(육아찬) : 6.아찬
七一吉?(칠일길찬) : 7.일길찬
八沙?(팔사찬) : 8.사찬
九級伐?(구급벌찬) : 9.급벌찬 1
十大奈麻(십대내마) : 0.대나마
十一奈麻(십일내마) : 11.나마
十二大舍(십이대사) : 12.대사
十三小舍(십삼소사) : 13.소사
十四吉士(십사길사) : 14.길사
十五大烏(십오대오) : 15.대오
十六小烏(십육소오) : 16.소오
十七造位(십칠조위) : 17.조위
王旣定六部(왕기정육부) : 왕은 6부를 정하고 나서
中分爲二(중분위이) : 이를 두 편으로 나누고,
使王女二人各率部內女子(사왕여이인각률부내여자) : 두 왕녀로 하여금 각각 부내의 여자들을 거느려
分朋造黨(분붕조당) :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게 하였다.
自秋七月旣望(자추칠월기망) : 이들 두 편은 가을 7월 16일부터,
每日早集大部之庭(매일조집대부지정) : 매일 새벽에 큰 부의 뜰에 모여
績麻乙夜而罷(적마을야이파) : 길쌈을 시작하여, 밤 열시 경에 끝냈다.
至八月十五日(지팔월십오일) : 그들은 8월 15일이 되면
考其功之多小(고기공지다소) : 길쌈을 얼마나 했는지를 심사하였으며,
負者置酒食(부자치주식) : 길쌈을 적게 한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
以謝勝者(이사승자) : 길쌈을 많이 한 편에 사례하였다.
於是(어시) : 이 때
歌舞百戱皆作(가무백희개작) : 노래와 춤과 여러 가지의 오락을 하였다.
謂之嘉俳(위지가배) : 이 행사를 가배라고 하였다.
是時(시시) : 이 행사를 할 때,
負家一女子(부가일여자) : 진 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
起舞歎曰會蘇(기무탄왈회소) : 춤을 추면서 탄식하는 소리로
會蘇(회소) : "회소"라고 하였다.
其音哀雅(기음애아) : 그 소리가 슬프고도 맑아
後人因其聲而作歌(후인인기성이작가) : 뒷날 사람들이 이 곡에 노래말을 붙이고,
名會蘇曲(명회소곡) : 회소곡이라고 하였다.
十一年(십일년) : 11년,
京都地裂泉湧(경도지렬천용) : 서울에서 땅이 갈라지고 샘이 솟았다.
夏六月(하육월) : 여름 6월,
大水(대수) : 홍수가 났다.
十三年秋八月(십삼년추팔월) : 13년, 가을 8월,
樂浪犯北邊(락랑범북변) : 낙랑이 북쪽 변경을 침범하여
攻陷朶山城(공함타산성) : 타산성을 점령하였다.
十四年(십사년) : 14년,
高句麗王無恤襲樂浪滅之(고구려왕무휼습락랑멸지) : 고구려왕 무휼이 낙랑을 습격하여 멸망시키자,
其國人五千來投(기국인오천래투) : 그 백성 5천 명이 투항해왔다.
分居六部(분거육부) : 그들을 6부에 나누어 살게 하였다.
十七年秋九月(십칠년추구월) : 17년, 가을 9월,
華麗不耐二縣人連謀(화려불내이현인연모) : 화려현·불내현의 두 현 사람들이 공모하여
率騎兵犯北境(률기병범북경) : 기병을 거느리고 북쪽 국경을 침범하였다.
貊國渠帥以兵要曲河西(맥국거수이병요곡하서) : 맥국의 우두머리가 병사를 동원하여 곡하 서쪽에서 요격하여
敗之(패지) : 이들을 물리쳤다.
王喜(왕희) : 왕이 기뻐하여
與貊國結好(여맥국결호) : 맥국과 친교를 맺었다.
十九年秋八月(십구년추팔월) : 19년, 가을 8월,
貊帥獵得禽獸(맥수렵득금수) : 맥국의 우두머리가 사냥을 하여 새와 짐승을 잡아
獻之(헌지) : 바쳤다.
三十一年春二月(삼십일년춘이월) : 31년, 봄 2월,
星?于紫宮(성패우자궁) : 자미 성좌에 혜성이 나타났다.
三十三年夏四月(삼십삼년하사월) : 33년, 여름 4월,
龍見金城井(룡견금성정) : 금성 우물에서 용이 나타났는데
有頃暴雨自西北來(유경폭우자서북래) : 얼마 후에 소나기가 서북쪽에서 몰려왔다.
五月(오월) : 5월에
大風拔木(대풍발목) :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.
三十四年秋九月(삼십사년추구월) : 34년, 가을 9월,
王不豫(왕불예) : 왕이 병환이 나자
謂臣寮曰(위신료왈) : 신하들에게 말했다.
脫解身聯國戚(탈해신련국척) : "탈해는 신분이 국척이요,
位處輔臣(위처보신) : 지위가 재상에 이르렀고,
屢著功名(루저공명) : 공을 여러 번 세웠다.
朕之二子(짐지이자) : 나의 두 아들은
其才不及遠矣(기재불급원의) : 재능이 그를 따르지 못한다.
吾死之後(오사지후) : 그러므로 내가 죽은 뒤에는
?卽大位(비즉대위) : 탈해를 왕위에 오르게 하라.
以無忘我遺訓(이무망아유훈) : 나의 유언을 잊지 말라."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에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葬蛇陵園內(장사릉원내) : 사릉원에 장사지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
제4대 탈해 이사금 (脫解 尼師今 57~80 재위기간 23년)
脫解尼師今立(탈해니사금립) : 탈해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(一云吐解(일운토해) : ) [토해라고도 한다.]
時年六十二(시년육십이) : 이 때 나이가 62세였다.
姓昔(성석) : 성은 석이며,
妃阿孝夫人(비아효부인) : 왕비는 아효부인이다.
脫解本多婆那國所生也(탈해본다파나국소생야) : 탈해는 본래 다파나국에서 태어났다.
其國在倭國東北一千里(기국재왜국동북일천리) : 이 나라는 왜국의 동북쪽으로 천 리 밖에 있다.
初其國王娶女國王女爲妻(초기국왕취여국왕여위처) : 본래 그 나라 왕은 여국의 왕녀를 아내로 삼았는데,
有娠七年乃生大卵(유신칠년내생대란) : 임신한 지 7년만에 큰 알을 낳았다.
王曰(왕왈) : 왕은
人而生卵(인이생란) : "사람이 알을 낳았으니
不祥也(불상야) : 이는 상서로운 일이 아니다.
宜棄之(의기지) : 그것을 버리는 것이 마땅하리라"라고 말하였다.
其女不忍(기여불인) : 그 여인이 알을 차마 버리지 못하고
以帛?卵幷寶物(이백과란병보물) : 비단으로 알과 보물을 함께 싸서
置於?中(치어독중) : 상자에 넣어
浮於海(부어해) : 바다에 띄워 보냈다.
任其所往(임기소왕) : 그것이 가는대로 두었다
初至金官國海邊(초지금관국해변) : 그 상자는 처음에 금관국 해변에 닿았다.
金官人怪之不取(금관인괴지불취) : 금관 사람은 이를 괴이하게 여겨 거두지 않았다.
又至辰韓阿珍浦口(우지진한아진포구) : 그 상자는 다시 진한 아진포 어구에 닿았다.
是始祖赫居世在位三十九年也(시시조혁거세재위삼십구년야) : 이 때가 곧 시조 혁거세 39년이었다.
時海邊老母以繩引繫海岸(시해변노모이승인계해안) : 그 때 해변에 사는 할머니가 상자를 줄로 끌어올려 해안에 매어 놓고
開?見之(개독견지) : 열어보니,
有一小兒在焉(유일소아재언) : 한 어린아이가 있었다.
其母取養之(기모취양지) : 그 노인은 이 아이를 데려다 길렀다.
及壯(급장) : 이 아이가 어른이 되자
身長九尺(신장구척) : 키가 9척이 되었으며,
風神秀朗(풍신수랑) : 기풍과 정신이 훌륭하였고,
智識過人(지식과인) : 지식이 남보다 뛰어났다.
或曰(혹왈) : 어떤 사람이
此兒不知姓氏(차아불지성씨) : "이 아이는 성씨를 알 수 없으나
初?來時(초독래시) : 처음 상자가 도착하였을 때,
有一鵲飛鳴而隨之(유일작비명이수지) : 까치 한 마리가 울면서 날아 따라 왔으니,
宜省鵲字(의성작자) : 까치 작(鵲)자를 줄여
以昔爲氏(이석위씨) : '석(昔)'으로 성을 삼는 것이 좋겠고,
又解??而出(우해온독이출) : 또한 상자를 풀고 나왔으니,
宜名脫解(의명탈해) : '벗을 탈(脫)'과 '풀 해(解)'로 이름을 짓는 것이 좋겠다"고 말하였다.
脫解始以漁釣爲業(탈해시이어조위업) : 탈해는 처음에는 고기잡이를 하여
供養其母(공양기모) : 어머니를 봉양하였다.
未嘗有懈色(미상유해색) : 그는 한번도 게으름을 피운 적이 없었다.
母謂曰(모위왈) : 그의 어머니는
汝非常人(여비상인) : "너는 보통 사람이 아니다.
骨相殊異(골상수이) : 골격과 관상이 특이하니
宜從學以立功名(의종학이립공명) : 마땅히 학문에 종사하여 공명을 세우라"라고 말하였다.
於是(어시) : 이에 따라
專精學問(전정학문) : 그는 학문에 전념하였고
兼知地理(겸지지리) : 동시에 지리도 이해하게 되었다.
望楊山下瓠公宅(망양산하호공택) : 그는 양산 아래에 있는 호공의 집을 보고
以爲吉地(이위길지) : 그 곳이 좋은 집터라고 생각하였다.
設詭計(설궤계) : 그리하여 꾀를 써서
以取而居之(이취이거지) : 이 터를 얻어 그 곳에서 살았다.
其地後爲月城(기지후위월성) : 이 땅은 뒷날 월성터가 되었다.
至南解王五年(지남해왕오년) : 남해왕 5년에 이르러
聞其賢(문기현) : 그가 어질다는 소문이 나자
以其女妻之(이기여처지) : 왕은 자기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.
至七年(지칠년) : 7년에 그를 등용하여
登庸爲大輔(등용위대보) : 대보로 임명하고
委以政事(위이정사) : 정사를 맡겼다.
儒理將死曰(유리장사왈) : 유리가 죽음을 눈 앞에 두고 말했다.
先王顧命曰(선왕고명왈) : "선왕은 '
吾死後無論子壻(오사후무논자서) : 내가 죽은 후에 아들과 사위를 막론하고
以年長且賢者(이년장차현자) : 나이가 많고 현명한 자로 하여금
繼位是以寡人先立(계위시이과인선립) : 왕위를 잇게 하라'고 유언하였다. 이리하여 내가 먼저 왕위에 올랐다.
今也宜傳其位焉(금야의전기위언) : 이제는 마땅히 왕위를 탈해에게 전해야 할 것이다."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, 봄 정월,
拜瓠公爲大輔(배호공위대보) : 호공을 대보로 임명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.
三年春三月(삼년춘삼월) : 3년, 봄 3월,
王登吐含山(왕등토함산) : 왕이 토함산에 올라가니,
有玄雲如蓋(유현운여개) : 우산 모양의 검은 구름이
浮王頭上(부왕두상) : 왕의 머리 위에 피어 났다가
良久而散(양구이산) : 한참 후에 흩어졌다
夏五月(하오월) : 여름 5월,
與倭國結好交聘(여왜국결호교빙) : 왜국과 친교를 맺고 사신을 교환하였다.
六月(육월) : 6월에
有星?于天船(유성패우천선) : 천선 성좌에 혜성이 나타났다.
五年秋八月(오년추팔월) : 5년, 가을 8월,
馬韓將孟召以覆嚴城降(마한장맹소이복엄성강) : 마한 장수 맹소가 복암성을 바치고 항복하였다.
七年冬十月(칠년동십월) : 7년, 겨울 10월,
百濟王拓地至娘子谷城(백제왕척지지낭자곡성) : 백제왕이 국토를 개척하여, 낭자곡성까지 넓히고
遣使請會(견사청회) : 사신을 보내 왕을 만나기를 요청했으나,
王不行(왕불행) : 왕은 가지 않았다.
八年秋八月(팔년추팔월) : 8년 가을 8월,
百濟遣兵攻蛙山城(백제견병공와산성) : 백제가 군사를 보내 와산성을 공격하였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又攻狗壤城(우공구양성) : 백제가 다시 구양성을 공격하자 .
王遣騎二千擊走之(왕견기이천격주지) : 왕은 기병 2천 명을 보내 그들을 공격하여 물리쳤다
十二月(십이월) : 12월,
地震(지진) : 지진이 있었다. 눈.
無雪(무설) : 이 내리지 않았다
九年春三月(구년춘삼월) : 9년 봄 3월 ,
王夜聞金城西始林樹間有鷄鳴聲(왕야문금성서시림수간유계명성) : 왕이 밤에 금성 서쪽 시림의 나무 사이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들었다.
遲明遣瓠公視之(지명견호공시지) : 날이 샐 무렵에 호공을 보내 어찌된 일인지를 알아보도록 하였다.
有金色小?掛樹枝(유금색소독괘수지) : 호공이 가보니 그 곳에는 나무 가지에 금빛나는 작은 상자가 걸려 있었고,
白鷄鳴於其下(백계명어기하) :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.
瓠公還告(호공환고) : 호공이 돌아와 이를 보고하였다.
王使人取?開之(왕사인취독개지) : 왕은 사람을 보내 그 상자를 가져와 열게 하였다.
有小男兒在其中(유소남아재기중) : 그 속에는 어린 사내 아이가 들어 있었고,
姿容奇偉(자용기위) : 그 아이는 자태와 용모가 뛰어났다.
上喜謂左右曰(상희위좌우왈) : 왕이 기뻐하며 측근들에게
此豈非天遺我以令胤乎(차기비천유아이령윤호) : "이 아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아들로 준 것이 아니겠는가!"라고 말하고,
乃收養之(내수양지) : 그 아이를 거두어 길렀다.
及長(급장) : 아이는 자라면서
聰明多智略(총명다지략) :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났다.
乃名閼智(내명알지) : 그의 이름을 알지라고 하였다.
以其出於金?(이기출어금독) : 그는 금빛이 나는 상자에서 나왔기 때문에 .
姓金氏(성김씨) : 성을 김씨라고 하였다.
改始林名鷄林(개시림명계림) : 시림을 고쳐 계림이라 부르고,
因以爲國號(인이위국호) : 이를 국호로 하였다
十年(십년) : 10년,
百濟攻取蛙山城(백제공취와산성) : 백제가 와산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,
留二百人居守(유이백인거수) : 2백 명을 그 곳에 남겨 거주시키며 수비하게 하였으나,
尋取之(심취지) : 얼마되지 않아서 우리가 이 땅을 다시 빼앗았다.
十一年春正月(십일년춘정월) : 11년 봄 정월,
以朴氏貴戚(이박씨귀척) : 박씨의 귀척으로 하여금
分理國內州郡(분리국내주군) : 국내의 주와 군을 나누어 다스리게 하였다.
號爲州主郡主(호위주주군주) : 그 직위를 각각 주주와 군주라고 불렀다.
二月(이월) : 2월,
以順貞爲伊伐?(이순정위이벌찬) : 순정을 이벌찬으로 임명하여
委以政事(위이정사) : 정사를 맡겼다.
十四年(십사년) : 14년,
百濟來侵(백제래침) : 백제가 침범하였다.
十七年(십칠년) : 17년,
倭人侵木出島(왜인침목출도) : 왜인이 목출도를 침범하였다.
王遣角干羽烏禦之(왕견각간우오어지) : 왕이 각간 우오를 보내 방어토록 하였으나
不克(불극) : 승리하지 못했다.
羽烏死之(우오사지) : 우오가 전사하였다.
十八年秋八月(십팔년추팔월) : 18년 가을 8월,
百濟寇邊(백제구변) : 백제가 변경을 약탈하므로
遣兵拒之(견병거지) : 군사를 보내 이를 방어하였다.
十九年(십구년) : 19년,
大旱(대한) : 큰 가뭄이 들었다.
民饑(민기) : 백성들이 굶주리므로
發倉賑給(발창진급) :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百濟攻西鄙蛙山城(백제공서비와산성) : 백제가 서쪽 변경의 와산성을 공격하여
拔之(발지) : 점령하였다.
二十年秋九月(이십년추구월) : 20년 가을 9월,
遣兵伐百濟(견병벌백제) : 군사를 보내 백제를 공격하여
復取蛙山城(복취와산성) : 와산성을 다시 찾았다.
自百濟來居者二百餘人(자백제래거자이백여인) : 백제에서 와서 살고 있던 2백여 명을
盡殺之(진살지) : 모두 죽였다.
二十一年秋八月(이십일년추팔월) : 21년 가을 8월,
阿?吉門與加耶兵戰於黃山津口(아찬길문여가야병전어황산진구) : 아찬 길문이 가야 군사를 상대로 황산진 입구에서 싸워
獲一千餘級(획일천여급) : 1천여 명을 죽였다.
以吉門爲波珍?(이길문위파진찬) : 길문을 파진찬으로 임명하여
賞功也(상공야) : 그 전공에 해당하는 상을 주었다.
二十三年春二月(이십삼년춘이월) : 23년 봄 2월,
慧星見東方(혜성견동방) :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가
又見北方(우견북방) : 다시 북쪽에 나타나더니 2
二十日乃滅(이십일내멸) : 0일 만에 사라졌다.
二十四年夏四月(이십사년하사월) : 24년 여름 4월,
京都大風(경도대풍) : 서울에 큰 바람이 불어
金城東門自壤(금성동문자양) : 금성 동문이 저절로 무너졌다.
秋八月(추팔월) : 가을 8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葬城北壤井丘(장성북양정구) : 성의 북쪽 양정 언덕에 장사지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
005
제5대 파사 이사금 (婆娑 尼師今 80~112 재위기간 32년)
婆娑尼師今立(파사니사금립) : 파사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儒理王第二子也(유리왕제이자야) : 그는 유리왕의 둘째 아들이다.
或云(혹운) : [혹은
儒理第奈老之子也(유리제내노지자야 : ) 유리의 아우 나로의 아들이라고도 한다.]
妃金氏史省夫人(비김씨사성부인) : 왕비는 김씨 사성부인이다.
許婁葛文王之女也(허루갈문왕지여야) : 그녀는 갈문왕 허루의 딸이다.
初脫解薨(초탈해훙) : 애초에 탈해가 죽었을 때
臣僚欲立儒理太子逸聖(신료욕립유리태자일성) : 신하들은 유리의 태자 일성을 왕위에 오르게 하려 하였다.
或謂(혹위) : 그러나 누군가가 말하기를
逸聖雖嫡嗣(일성수적사) : "일성이 적자이기는 하지만
而威明不及婆娑(이위명불급파사) : 사람됨과 총명함이 파사만 못하다"고 하여,
遂立之(수립지) : 마침내 파사를 왕위에 오르도록 한 것이다.
婆娑節儉省用而愛民(파사절검성용이애민) : 파사는 절도있고 검소하며 물자를 아끼는 생활을 하였고, 또한 백성을 사랑하였으므로
國人嘉之(국인가지) : 백성들이 그를 칭송하였다.
二年春二月(이년춘이월) : 2년 봄 2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.
三月(삼월) : 3월,
巡撫州郡(순무주군) : 왕이 주와 군을 순행하여
發倉賑給(발창진급) : 창고를 풀어 백성들을 구제하고,
慮獄囚(려옥수) : 옥에 갇힌 죄수를 조사하여
非二罪悉原之(비이죄실원지) : 두 가지의 사형죄에 해당하는 자가 아니면 모두 석방토록 하였다.
三年春正月(삼년춘정월) : 3년 봄 정월,
下令曰(하령왈) :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다.
今倉?空?(금창름공궤) : "지금 나라 창고가 비었고
戎器頑鈍(융기완둔) : 병기는 무디어 졌다.
?有水旱之災邊鄙之警(당유수한지재변비지경) : 혹시라도 홍수나 가뭄 또는 변방에 변고가 생기면
其何以禦之(기하이어지) : 이에 어떻게 대처하겠는가.
宜令有司(의령유사) : 마땅히 유사로 하여금
勸農桑練兵革(권농상련병혁) :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 군사를 훈련시켜
以備不虞(이비불우) : 의외의 상황에 대비토록 하라."
五年春二月(오년춘이월) : 5년 봄 2월,
以明宣爲伊?(이명선위이찬) : 명선을 이찬으로,
允良爲波珍?(윤양위파진찬) : 윤량을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.
夏五月(하오월) : 여름 5월,
古陀郡主獻靑牛(고타군주헌청우) : 고타 군주가 푸른 색의 소를 바쳤다.
南新縣麥連?(남신현맥연기) : 남신현에서는 하나의 보리 이삭에 여러 가닥이 생겨나
大有年(대유년) : 크게 풍년이 들었기 때문에
行者不?糧(행자불재량) : 여행하는 사람들이 식량을 가지고 다니지 않았다.
六年春正月(육년춘정월) : 6년 봄 정월,
百濟犯邊(백제범변) : 백제가 변경을 침범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以吉元爲阿?(이길원위아찬) : 길원을 아찬으로 임명하였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
客星入紫微(객성입자미) : 객성이 자미 성좌에 들어 갔다.
八年秋七月(팔년추칠월) : 8년 가을 7월,
下令曰(하령왈) : 왕이
朕以不德有此國家(짐이불덕유차국가) : "내가 부덕함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맡았다.
西隣百濟(서린백제) : 우리 나라는 서쪽으로 백제를 이웃하고
南接加耶(남접가야) : 남쪽으로 가야에 접하였으나,
德不能綏(덕불능수) : 나의 덕망은 백성들을 편안히 살게 하지 못하고,
威不足畏(위불족외) : 위엄은 외국을 두렵도록 하기에 부족하였으니,
宜繕葺城壘(의선즙성루) : 마땅히 성과 보루를 수리하여
以待侵?(이대침질) :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라"는 명령을 내렸다.
是月(시월) : 이 달에
築加召馬頭二城(축가소마두이성) : 두 곳, 즉 가소성과 마두성을 쌓았다.
十一年秋七月(십일년추칠월) : 11년 가을 7월,
分遣使十人(분견사십인) : 열 명의 사신을 파견하여
廉察州郡主(렴찰주군주) : 주주와 군주들을 조사하고,
不勤公事(불근공사) : 공무에 성실하지 않거나
致田野多荒者(치전야다황자) : 농토를 많이 황폐하게 한 자가 있으면
貶黜之(폄출지) : 직급을 내리거나 사직토록 하였다.
十四年春正月(십사년춘정월) : 14년 봄 정월,
拜允良爲伊?(배윤양위이찬) : 윤량을 이찬으로 임명하고,
啓其爲波珍?(계기위파진찬) : 계기를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巡幸古所夫里郡(순행고소부리군) : 왕이 고소부리군에 행차하여
親問高年(친문고년) : 나이 많은 백성을 직접 위문하고
賜穀(사곡) : 곡식을 주었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京都地震(경도지진) :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.
十五年春二月(십오년춘이월) : 15년 봄 2월,
加耶賊圍馬頭城(가야적위마두성) : 가야의 적군이 마두성을 포위하자
遣阿?吉元(견아찬길원) : 아찬 길원을 보냈다.
將騎一千擊走之(장기일천격주지) : 길원은 기병 1천을 거느리고 그들을 격퇴하였다.
秋八月(추팔월) : 가을 8월,
閱兵於閼川(열병어알천) : 알천에서 군대를 사열하였다.
十七年秋七月(십칠년추칠월) : 17년 가을 7월,
暴風自南(폭풍자남) : 남쪽에서 폭풍이 불어와
拔金城南大樹(발금성남대수) : 금성 남쪽에 있는 큰 나무가 뽑혔다.
九月(구월) : 9월,
加耶人襲南鄙(가야인습남비) : 가야 사람들이 남쪽 변경을 습격하였다.
遣加城主長世拒之(견가성주장세거지) : 성주 장세를 보내 방어토록 하였으나,
爲賊所殺(위적소살) : 그가 전사하였다.
王怒(왕노) : 왕이 노하여
率勇士五千出戰敗之(률용사오천출전패지) : 정예병 5천을 거느리고 출전하여 그들을 물리쳤다.
虜獲甚多(로획심다) : 노획한 물자가 매우 많았다.
十八年春正月(십팔년춘정월) : 18년 봄 정월,
擧兵欲伐加耶(거병욕벌가야) : 군사를 동원하여 가야를 치려 하였으나,
其國主遣使請罪(기국주견사청죄) : 그 임금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였으므로
乃止(내지) : 이를 중지하였다.
十九年夏四月(십구년하사월) : 19년 여름 4월,
京都旱(경도한) : 서울에 가뭄이 들었다.
二十一年秋七月(이십일년추칠월) : 21년 가을 7월,
雨雹(우박) : 우박이 내려
飛鳥死(비조사) : 날던 새가 죽었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京都地震(경도지진) : 서울에 지진이 있었다.
倒民室(도민실) : 민가가 쓰러지고
有死者(유사자) : 사망자가 발생하였다.
二十二年春二月(이십이년춘이월) : 22년 봄 2월,
築城名月城(축성명월성) : 성을 쌓고, 이를 월성이라 이름지었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王移居月城(왕이거월성) : 왕이 월성으로 옮겨 거주하였다.
二十三年秋八月(이십삼년추팔월) : 23년 가을 8월,
音汁伐國與悉直谷國爭疆(음즙벌국여실직곡국쟁강) : 음집벌국과 실직곡국이 국경 문제로 다투다가
詣王請決(예왕청결) : 왕에게 와서 결정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.
王難之(왕난지) : 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여기고,
謂金官國首露王年老多智識(위금관국수로왕년로다지식) : 왕금관국 수로왕이 나이가 많고 아는 것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여
召問之(소문지) : 그를 불러와 물었다.
首露立議(수로립의) : 수로가 의견을 내어,
以所爭之地(이소쟁지지) : 다투던 땅을
屬音汁伐國(속음즙벌국) : 음집벌국에 주도록 하였다.
於是(어시) : 이에
王命六部(왕명육부) : 왕은 6부로 하여금
會饗首露王(회향수로왕) : 수로왕을 위하여 연회를 베풀도록 하였다.
五部皆以伊?爲主(오부개이이찬위주) : 5부는 모두 이찬으로 우두머리를 삼았는데,
唯漢祇部以位卑者主之(유한기부이위비자주지) : 오직 한기부만은 직위가 낮은 자를 우두머리로 삼았다.
首露怒(수로노) : 수로가 노하여
命奴耽下里殺漢祇部主保齊而歸(명노탐하리살한기부주보제이귀) : 그의 종 탐하리를 시켜 한기부의 우두머리 보제를 죽이고 돌아갔다.
奴逃依音汁伐主?鄒干家(노도의음즙벌주타추간가) : 보제의 종이 도망하여 음집벌주 타추간의 집에 의탁하였다.
王使人索其奴(왕사인삭기노) : 왕이 사람을 보내 그 종을 찾았으나
?鄒不送(타추불송) : 타추가 돌려 보내지 않았다.
王怒(왕노) : 왕이 노하여
以兵伐音汁伐國(이병벌음즙벌국) : 군사를 동원하여 음집벌국을 공격하니,
其主與衆自降(기주여중자강) : 그 우두머리가 자기의 무리와 함께 스스로 항복하였다.
悉直押督二國王來降(실직압독이국왕래강) : 실직·압독 두 나라 왕이 항복해왔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桃李華(도이화) : 복숭아와 오얏나무 꽃이 피었다.
二十五年春正月(이십오년춘정월) : 25년 봄 정월,
衆星隕如雨(중성운여우) : 많은 별들이 비오듯 떨어졌으나,
不至地(불지지) : 땅에 이르지는 않았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悉直叛(실직반) : 실직이 배반하자
發兵討平之(발병토평지) : 군사를 보내 토벌 평정하고,
徙其餘衆於南鄙(사기여중어남비) : 남은 무리를 남쪽 변경으로 옮겨 살도록 하였다.
二十六年春正月(이십육년춘정월) : 26년 봄 정월,
百濟遣使請和(백제견사청화) :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해를 요청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京都雪三尺(경도설삼척) : 서울에 석 자 깊이의 눈이 내렸다.
二十七年春正月(이십칠년춘정월) : 27년 봄 정월,
幸押督(행압독) : 왕이 압독에 행차하여
賑貧窮(진빈궁) : 가난한 백성들을 구제하였다.
三月(삼월) : 월에
至自押督(지자압독) : 3압독으로부터 돌아왔다.
秋八月(추팔월) : 가을 8월,
命馬頭城主伐加耶(명마두성주벌가야) : 마두성주에게 명령하여 가야를 정벌토록 하였다.
二十九年夏五月(이십구년하오월) : 29년 여름 5월에
大水(대수) : 홍수가 났다.
民飢(민기) : 백성들이 굶주리므로
發使十道(발사십도) : 10도에 사신을 보내
開倉賑給(개창진급) : 창고를 열어 구제토록 하였다.
遣兵伐北只國多伐國草八國幷之(견병벌북지국다벌국초팔국병지) : 군사를 보내 비지국·다벌국·초팔국을 정벌하여 합병하였다.
三十年秋七月(삼십년추칠월) : 30년 가을 7월에
蝗害穀(황해곡) : 메뚜기 떼가 곡식을 해쳤다.
王遍祭山川(왕편제산천) : 왕이 산천에 두루 제사를 지내고
以祈禳之(이기양지) : 기도를 올렸다.
蝗滅(황멸) : 메뚜기 떼가 없어지고
有年(유년) : 풍년이 들었다.
三十二年夏四月(삼십이년하사월) : 32년 여름 4월에
城門自毁(성문자훼) : 성문이 저절로 무너졌다.
自五月至秋七月(자오월지추칠월) : 5월부터 가을 7월까지
不雨(불우) : 비가 내리지 않았다.
三十三年冬十月(삼십삼년동십월) : 33년 겨울 10월에 .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葬蛇陵園內(장사릉원내) : 사릉원 경내에 장사지냈다
======================
006
제6대 지마 이사금 (祗摩 尼師今 112~134 재위기간 22년)
祇摩尼師今立(기마니사금립) : 지마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(或云祇味(혹운기미) : ) [혹은 지미라고도 한다.]
婆娑王嫡子(파사왕적자) : 그는 파사왕의 적자이다.
母史省夫人(모사성부인) : 어머니는 사성부인이다.
妃金氏愛禮夫人(비김씨애례부인) : 왕비는 김씨 애례부인인데,
葛文王摩帝之女也(갈문왕마제지여야) : 그녀는 갈문왕 마제의 딸이었다.
初婆娑王獵於楡?之澤(초파사왕렵어유찬지택) : 애초에 파사왕이 유찬 못가에 가서 사냥할 때
太子從焉(태자종언) : 태자도 동행하였다.
獵後過韓?部(렵후과한기부) : 사냥을 한 뒤 한기부를 지날 때,
伊?許婁饗之(이찬허루향지) : 이찬 허루가 음식을 차려 대접하였다.
酒?(주감) : 술 기운이 무르익자
許婁之妻携少女子出舞(허루지처휴소녀자출무) : 허루의 아내가 젊은 딸을 데리고 나와 춤을 추었다.
摩帝伊?之妻亦引出其女(마제이찬지처역인출기녀) : 그러자 이찬 마제의 부인도 역시 자기의 딸을 데리고 나왔다.
太子見而悅之(태자견이열지) : 태자가 그녀를 보고 기뻐하였으나
許婁不悅(허루불열) : 허루는 이를 좋아하지 않았다.
王謂許婁曰(왕위허루왈) : 왕이 허루에게 말하기를
此地名大?(차지명대포) : "이 곳 땅 이름이 대포(큰 부엌)인데,
公於此置盛饌美?(공어차치성찬미온) : 공이 이 곳에서 훌륭한 음식과 좋은 술을 차려
以宴?之(이연간지) : 잔치를 베풀어 즐겁게 하니,
宜位酒多在伊?之上(의위주다재이찬지상) : 직위를 주다(酒多:술이 많음)라고 하여 이찬 위에 두어야 마땅하겠다"라고 말하고,
以摩帝之女配太子焉(이마제지녀배태자언) : 마제의 딸을 태자의 배필로 삼았다.
酒多後云角干(주다후운각간) : 주다는 뒤에 각간이라고 불리웠다.
二年春二月(이년춘이월) : 2년 봄 2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.
拜昌永爲伊?(배창영위이찬) : 창영을 이찬으로 임명하여
以參政事(이삼정사) : 정사를 맡겼다.
玉權爲波珍?(옥권위파진찬) : 옥권을 파진찬으로,
申權爲一吉?(신권위일길찬) : 신권을 일길찬으로,
順宣爲級?(순선위급찬) : 순선을 급찬으로 임명하였다.
三月(삼월) : 3월에
百濟遣使來聘(백제견사래빙) : 백제가 사신을 보내 예방해왔다.
三年春三月(삼년춘삼월) : 3년 봄 3월
雨雹(우박) : 우박이 내려
麥苗傷(맥묘상) : 보리싹이 상하였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에
大水(대수) : 홍수가 났다.
慮囚(려수) : 죄수들를 심사하여
除死罪餘悉原之(제사죄여실원지) : 사형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석방하였다.
四年春二月(사년춘이월) : 4년 봄 2월,
加耶寇南邊(가야구남변) : 가야가 남쪽 변경을 약탈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親征加耶(친정가야) : 왕이 가야를 직접 공격하였다.
帥步騎度黃山河(수보기도황산하) : 보병과 기병을 거느리고 황산하를 지나는데
加耶人伏兵林薄以待之(가야인복병림박이대지) : 가야인들이 숲 속에 군사를 매복시키고 기다렸다.
王不覺直前(왕불각직전) : 왕은 이를 모르고 곧바로 전진하였는데,
伏發圍數重(복발위수중) : 복병이 나와 왕을 여러 겹으로 포위하였다.
王揮軍奮擊(왕휘군분격) : 왕은 군사를 지휘하여 맹렬히 싸워
決圍而退(결위이퇴) : 포위를 뚫고 퇴각하였다.
五年秋八月(오년추팔월) : 5년 가을 8월,
遣將侵加耶(견장침가야) : 장수를 보내 가야를 공격하게 하고,
王帥精兵一萬以繼之(왕수정병일만이계지) : 왕은 정병 1만을 거느려 뒤를 이었다.
加耶?城固守(가야영성고수) : 가야는 성을 닫고 굳게 수비하였다.
會久雨乃還(회구우내환) : 그 때 마침 비가 오래 내렸으므로 왕은 되돌아 왔다
九年春二月(구년춘이월) : 9년 봄 2월,
大星墜月城西(대성추월성서) : 큰 별이 월성 서쪽에 떨어졌다.
聲如雷(성여뢰) :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.
三月(삼월) : 3월, 서
京都大疫(경도대역) : 울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.
十年春正月(십년춘정월) : 10년 봄 정월,
以翌宗爲伊?(이익종위이찬) : 익종을 이찬으로 임명하고,
昕連爲波珍?(흔연위파진찬) : 흔련을 파진찬으로 임명하고,
林權爲阿?(림권위아찬) : 임권을 아찬으로 임명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築大甑山城(축대증산성) : 대증산성을 쌓았다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
倭人侵東邊(왜인침동변) : 왜인이 동쪽 변경을 침범하였다.
十一年夏四月(십일년하사월) : 11년 여름 4월,
大風東來(대풍동래) : 큰 바람이 동쪽에서 불어와
折木飛瓦(절목비와) : 나무를 꺾고 기와를 날렸다.
至夕而止(지석이지) : 바람은 저녁이 되어서야 그쳤다.
都人訛言倭兵大來(도인와언왜병대래) : 서울 사람들이 왜병이 크게 몰려 온다는 헛 소문을 듣고
爭遁山谷(쟁둔산곡) : 앞다투어 산골짜기로 피난하였다.
王命伊?翌宗等諭止之(왕명이찬익종등유지지) : 왕은 이찬 익종 등으로 하여금 그들에게 사실을 알리고 돌아가도록 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飛蝗害穀(비황해곡) : 메뚜기 떼가 곡식을 해쳤으며,
年饑(년기) : 흉년이 들어
多盜(다도) : 도둑이 많았다.
十二年春三月(십이년춘삼월) : 12년 봄 3월,
與倭國講和(여왜국강화) : 왜국과 강화하였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
隕霜(운상) : 서리가 내렸다.
五月(오월) : 5월,
金城東民屋陷爲池(금성동민옥함위지) : 금성 동쪽 민가가 내려 앉아 연못이 되었고,
芙?生(부거생) : 그 곳에 연밥이 생겼다.
十三年秋九月庚申晦(십삼년추구월경신회) : 13년 가을 9월 그믐 경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十四年春正月(십사년춘정월) : 14년 봄 정월,
靺鞨大入北境(말갈대입북경) : 말갈이 북쪽 변경을 크게 공격하여,
殺掠吏民(살략리민) : 관리와 백성들을 죽이고 약탈했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에
又襲大嶺柵(우습대령책) : 그들은 다시 대령 책을 습격하고
過於泥河(과어니하) : 이하를 넘어왔다.
王移書百濟請救(왕이서백제청구) : 왕은 백제에 글을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고,
百濟遣五將軍助之(백제견오장군조지) : 백제는 다섯 명의 장군을 보내 돕게 하였다.
賊聞而退(적문이퇴) : 적은 이 소식을 듣고 물러갔다.
十六年秋七月甲戌朔(십육년추칠월갑술삭) : 16년 가을 7월 초하루 갑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十七年秋八月(십칠년추팔월) : 17년 가을 8월, .
長星竟天(장성경천) : 장성이 하늘 끝까지 뻗쳤다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國東地震(국동지진) : 동쪽 지방에 지진이 있었다.
十一月雷(십일월뢰) : 11월, 우레가 있었다.
十八年秋(십팔년추) : 18년가을,
伊?昌永卒(이찬창영졸) : 이찬 창영이 사망하자,
以波珍?玉權爲伊?(이파진찬옥권위이찬) : 파진찬 옥권을 이찬으로 임명하여
以?政事(이참정사) : 정사에 참여시켰다
二十年夏五月(이십년하오월) : 20년 여름 5월,
大雨(대우) : 큰 비가 내려
漂沒民戶(표몰민호) : 민가가 물에 잠겼다.
二十一年春二月(이십일년춘이월) : 21년 봄 2월,
宮南門災(궁남문재) : 궁궐 남문이 불탔다
二十三年(이십삼년) : 23년,
春夏旱(춘하한) :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었다
秋八月(추팔월) : 가을 8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으나
無子(무자) : 아들이 없었다
====================
007
제7대 일성 이사금 (逸聖 尼師今 134~154 재위기간 20년)
逸聖尼師今立(일성니사금립) : 일성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儒理王之長子 그는 유리왕의 맏아들이다.
(或云(혹운) : [혹은
日知葛文王之子(일지갈문왕지자) : ) 일지 갈문왕의 아들이라고도 한다.]
妃朴氏(비박씨) : 왕비는 박씨인데,
支所禮王之女(지소례왕지여) : 그녀는 지소례왕의 딸이다.
元年九月(원년구월) : 원년 9월,
大赦(대사) :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.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 봄 정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.
三年春正月(삼년춘정월) : 3년 봄 정월,
拜雄宣爲伊?兼知內外兵馬事(배웅선위이찬겸지내외병마사) : 웅선을 이찬에 임명하고, 내외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近宗爲一吉?(근종위일길찬) : 근종이 일길찬이 되었다.
四年春二月(사년춘이월) : 4년 봄 2월,
靺鞨入塞(말갈입색) : 말갈이 국경을 침범하여,
燒長嶺五柵(소장령오책) : 장령 지방의 다섯 곳의 책을 불태웠다.
五年春二月(오년춘이월) : 5년 봄 2월,
置政事堂於金城(치정사당어금성) : 금성에 정사당을 설치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大閱閼川西(대열알천서) : 알천 서쪽에서 군대를 크게 사열하였다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北巡(북순) : 왕이 북쪽으로 순행하고,
親祀太白山(친사태백산) : 태백산에서 직접 제사를 지냈다.
六年秋七月(육년추칠월) : 6년 가을 7월,
隕霜殺菽(운상살숙) : 서리가 내려 콩이 죽었다.
八月(팔월) : 8월,
靺鞨襲長嶺(말갈습장령) : 말갈이 장령을 습격하여
虜掠民口(로략민구) : 약탈하고 주민들을 잡아갔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又來(우래) : 말갈이 다시 습격해왔으나,
雷甚乃退(뢰심내퇴) : 우레가 심하게 울리자 물러갔다.
七年春二月(칠년춘이월) : 7년 봄 2월,
立柵長嶺以防靺鞨(립책장령이방말갈) : 장령에 목책을 세워 말갈을 방어하였다.
八年秋九月辛亥晦(팔년추구월신해회) : 8년 가을 9월 그믐 신해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九年秋七月(구년추칠월) : 9년 가을 7월,
召群公議征靺鞨(소군공의정말갈) : 왕이 여러 대신들을 불러 말갈을 공격할 것을 논의하였으나,
伊?雄宣上言不可(이찬웅선상언불가) : 이찬웅선이 "불가능하다"고 왕에게 말하자
乃止(내지) : 이를 중지하였다.
十年春二月(십년춘이월) : 10년 봄 2월,
修葺宮室(수즙궁실) : 궁실을 수리하였다.
夏六月乙丑(하육월을축) : 여름 6월 을축에
熒惑犯鎭星(형혹범진성) : 화성이 토성을 범했다.
冬十一月雷(동십일월뢰) : 겨울 11월, 우레가 있었다.
十一年春二月(십일년춘이월) : 11년 봄 2월,
下令(하령) : 왕이
農者政本(농자정본) : "농사는 정치의 근본이요,
食惟民天(식유민천) : 먹는 것은 백성들에게 하늘처럼 귀중한 것이다.
諸州郡修完堤防(제주군수완제방) : 모든 주와 군에서는 제방을 수리하고
廣闢田野(광벽전야) : 밭과 들을 개간하여 넓히라"는 명령을 내렸다.
又下令(우하령) : 또한
禁民間用金銀珠玉(금민간용금은주옥) : "민간에서 금·은·주옥의 사용을 금하라"는 명령을 내렸다.
十二年(십이년) : 12년,
春夏旱(춘하한) :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었다.
南地最甚(남지최심) : 남쪽 지방이 가장 심하여
民飢(민기) : 백성들이 굶주렸으므로,
移其粟賑給之(이기속진급지) : 식량을 운반하여 그들에게 공급하였다.
十三年冬十月(십삼년동십월) : 1 3년 겨울 10월,
押督叛(압독반) : 압독이 반란을 일으키자,
發兵討平之(발병토평지) : 군사를 풀어 평정하고,
徙其餘衆於南地(사기여중어남지) : 남은 무리들을 남쪽 지방으로 옮겨 살게 하였다.
十四年秋七月(십사년추칠월) : 14년 가을 7월,
命臣寮各擧智勇堪爲將帥者(명신료각거지용감위장수자) : 신하들에게 명하여 장수가 될만한 지혜와 용맹을 갖춘 자를 각각 천거하게 하였다.
十五年(십오년) : 15년,
封朴阿道爲葛文王 박아도를 갈문왕에 봉했다.
(新羅追封王皆稱葛文王(신라추봉왕개칭갈문왕) : [신라에서는 추봉한 왕을 모두 갈문왕이라고 부르는데,
其義未詳(기의미상) : ) 그 의미는 확실하지 않다.]
十六年春正月(십육년춘정월) : 16년 봄 정월,
以得訓爲沙?(이득훈위사찬) : 득훈을 사찬,
宣忠爲奈麻(선충위나마) : 선충을 내마로 삼았다.
秋八月(추팔월) : 가을 8월,
有星?于天市(유성패우천시) : 혜성이 천시 성좌에 나타났다.
冬十一月雷(동십일월뢰) : 겨울 11월, 우레가 있었고,
京都大疫(경도대역) : 서울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.
十七年(십칠년) : 17년,
自夏四月不雨(자하사월불우) : 여름 4월부터 비가 내리지 않다가,
至秋七月乃雨(지추칠월내우) : 가을 7월이 되어서야 비가 내렸다.
十八年春二月(십팔년춘이월) : 18년 봄 2월,
伊?雄宣卒(이찬웅선졸) : 이찬 웅선이 사망하자,
以大宣爲伊?兼知內外兵馬事(이대선위이찬겸지내외병마사) : 대선을 이찬으로 임명하고, 내외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三月(삼월) : 3월,
雨雹(우박) : 우박이 내렸다.
二十年冬十月(이십년동십월) : 20년 겨울 10월,
宮門災(궁문재) : 궁궐 대문에 불이 났다.
慧星見東方(혜성견동방) :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가
又見東北方(우견동북방) : 다시 동북쪽에 나타났다.
二十一年春二月(이십일년춘이월) : 21년 봄 2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==============
008
제8대 아달라 이사금(阿達羅 尼師今 154~184 재위기간 30년)
阿達羅尼師今立(아달라니사금입) : 아달라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
逸聖長子也(일성장자야) : 그는 일성의 맏아들이다.
身長七尺(신장칠척) : 그는 키가 일곱 자였으며
豊準有奇相(풍준유기상) : 풍채가 훌륭하고 얼굴 모양이 기이하였다.
母朴氏(모박씨) : 어머니는 박씨인데
支所禮王之女(지소례왕지녀) : 그녀는 지소례왕의 딸이다.
妃朴氏內禮夫人(비박씨내례부인) : 왕비는 박씨 내례부인이다.
祇摩王之女也(기마왕지녀야) : 그녀는 지마왕의 딸이다.
元年三月(원년삼월) : 원년 3월,
以繼元爲伊?(이계원위이찬) : 계원을 이찬으로 임명하여
委軍國政事(위군국정사) : 군무와 정사를 맡겼다.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 봄 정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왕이 시조묘에 직접 제사지내고,
大赦(대사) :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.
以興宣爲一吉?(이흥선위일길찬) : 흥선을 일길찬에 임명하였다.
三年夏四月(삼년하사월) : 3년 여름 4월,
隕霜(운상) : 서리가 내렸다.
開?立嶺路(개계입령로) : 계립령에 길이 개통되었다.
四年春二月(사년춘이월) : 4년 봄 2월,
始置甘勿馬山二縣(시치감물마산이현) : 감물현과 마산현 두 현을 처음으로 설치하였다.
三月(삼월) : 3월,
巡幸長嶺鎭(순행장영진) : 왕이 장령진에 행차하여
勞戍卒(노수졸) : 주둔하는 병사들을 위로하고
各賜征袍(각사정포) : 각각의 군사들에게 군복을 하사하였다.
五年春三月(오년춘삼월) : 5년 봄 3월,
開竹嶺(개죽령) : 죽령이 개통되었다.
倭人來聘(왜인래빙) : 왜인이 예방해왔다.
七年夏四月(칠년하사월) : 7년 여름 4월,
暴雨(포우) : 폭우로
閼川水溢(알천수일) : 알천이 넘쳐서
漂流人家(표류인가) : 집이 떠내려 가고,
金城北門自毁(김성북문자훼) : 금성 북문이 저절로 무너졌다.
八年秋七月(팔년추칠월) : 8년 가을 7월,
蝗害殼(황해각) : 메뚜기 떼가 곡식을 해치고,
海魚多出死(해어다출사) : 바다 고기가 육지로 올라와 죽었다.
九年(구년) : 9년,
巡幸沙道城(순행사도성) : 왕이 사도성에 행차하여
勞戍卒(노수졸) : 주둔하는 병사를 위로하였다.
十一年春二月(십일년춘이월) : 11년 봄 2월,
龍見京都(용견경도) : 서울에 용이 나타났다.
十二年冬十月(십이년동십월) : 12년 겨울 10월,
阿?吉宣謀叛(아찬길선모반) : 아찬 길선이 반역을 도모하다가
發覺(발각) : 발각되자
懼誅亡入百濟(구주망입백제) : 처형을 두려워하여 백제로 도망갔다.
王移書求之(왕이서구지) : 이 글을 보내 그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으나
百濟不許(백제불허) : 백제가 응하지 않았다.
王怒出師伐之(왕노출사벌지) : 왕이 노하여 군사를 보내 백제를 공격하자,
百濟?城守不出(백제영성수불출) : 백제는 성을 닫고 수비하며 나오지 않았다.
我軍粮盡乃歸(아군량진내귀) : 우리 군사는 식량이 떨어져 돌아왔다.
十三年春正月辛亥朔(십삼년춘정월신해삭) : 13년 봄 정월 초하루 신해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十四年秋七月(십사년추칠월) : 14년 가을 7월,
百濟襲破國西二城(백제습파국서이성) : 백제가 서쪽의 두 성을 격파하고,
虜獲民口一千而去(로획민구일천이거) : 주민 1천 명을 잡아 갔다.
八月(팔월) : 8월,
命一吉?興宣領兵二萬伐之(명일길찬흥선영병이만벌지) : 일길찬 흥선으로 하여금 군사 2만을 거느리고 그들을 공격하게 하고,
王又率騎八千自漢水臨之(왕우율기팔천자한수림지) : 또한 왕은 기병 8천을 거느리고 한수로부터 그 곳에 도착하였다.
百濟大懼(백제대구) : 백제는 크게 두려워 하여
還其所掠男女乞和(환기소략남녀걸화) : 잡아갔던 남녀를 돌려주고 화친을 요구하였다.
十五年夏四月(십오년하사월) : 15년 여름 4월,
伊?繼元卒(이찬계원졸) : 이찬 계원이 사망하자
以興宣爲伊?(이흥선위이찬) : 흥선을 이찬에 임명하였다.
十七年春二月(십칠년춘이월) : 17년 봄 2월,
重修始祖廟(중수시조묘) : 시조묘를 중수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京師地震(경사지진) : 서울에 지진이 있었고,
霜雹害穀(상박해곡) :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百濟寇邊(백제구변) : 백제가 변경을 약탈하였다.
十八年春(십팔년춘) : 18년 봄,
穀貴民飢(곡귀민기) : 곡식이 귀하여 백성들이 굶주렸다.
十九年春正月(십구년춘정월) : 19년 봄 정월,
以仇道爲波珍?(이구도위파진찬) : 구도를 파진찬에 임명하고
仇須兮爲一吉?(구수혜위일길찬) : 구수혜를 일길찬에 임명하였다.
二月(이월) : 2월,
有事始祖廟(유사시조묘) :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.
京都大疫(경도대역) : 서울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.
二十年夏五月(이십년하오월) : 20년 여름 5월,
倭女王卑彌乎遣使來聘(왜여왕비미호견사내빙) : 왜국 여왕 비미호가 사신을 보내 예방해왔다.
二十一年春正月(이십일년춘정월) : 21년 봄 정월,
雨土(우토) : 흙비가 내렸다.
二月旱(이월한) : 2월, 가뭄이 들어
井泉竭(정천갈) : 우물과 샘물이 말랐다.
三十一年春三月(삼십일년춘삼월) : 31년 봄 3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
009
제9대 벌휴 이사금 (伐休 尼師今 184~196 재위기간 12년 )
伐休尼師今立(벌휴니사금입) : 벌휴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(一作發暉(일작발휘) : ) [발휘라고도 한다.]
姓昔(성석) : 그의 성은 석씨이며,
脫解王子仇鄒角于之子也(탈해왕자구추각우지자야) : 탈해왕의 아들 구추 각간의 아들이다.
母姓金氏只珍內禮夫人(모성김씨지진내례부인) : 어머니의 성은 김씨이다. 그녀는 지진내례부인이다.
阿達羅薨(아달라훙) : 아달라가 죽었으나
無子(무자) : 아들이 없었으므로
國人立之(국인입지) : 백성들이 그를 왕으로 세웠다.
王占風雲(왕점풍운) : 왕은 바람과 구름을 보고 점을 쳐서
預知水旱及年之?儉(예지수한급년지풍검) : 홍수와 가뭄, 그 해에 풍년이 들 것인가 흉년이 들 것인가를 미리 알았으며,
又知人邪正(우지인사정) : 또한 사람이 정직한가 사악한가를 알았으므로,
人謂之聖(인위지성) : 사람들이 그를 성인이라고 불렀다.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 봄 정월,
親祀始祖廟(친사시조묘) : 시조묘에 직접 제사지내고,
大赦(대사) :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
二月(이월) : 2월,
拜波珍?仇道一吉?仇須兮(배파진찬구도일길찬구수혜) : 파진찬 구도와 일길찬 구수혜가
爲左右軍主(위좌우군주) : 좌우 군주가 되어
伐召文國(벌소문국) : 소문국을 정벌하였다.
軍主之名(군주지명) : 군주라는 명칭이
始於此(시어차) : 이로부터 시작되었다.
三年春正月(삼년춘정월) : 3년 봄 정월,
巡幸州郡(순행주군) : 왕이 주와 군을 순행하여
觀察風俗(관찰풍속) : 민정을 시찰하였다.
夏五月壬申晦(하오월임신회) : 여름 5월 그믐 임신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南新縣進嘉禾(남신현진가화) : 남신현에서 상서로운 벼를 진상하였다.
四年春三月(사년춘삼월) : 4년 봄 3월,
下令州郡(하령주군) : 주와 군에 명령을 내려
無作土木之事以奪農時(무작토목지사이탈농시) : 농사철에 토목 공사를 하지 않도록 하였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北地大雪(북지대설) : 북부 지방에 큰 눈이 내려
深一丈(심일장) : 한 장 깊이로 쌓였다.
五年春二月(오년춘이월) : 5년 봄 2월,
百濟來攻母山城(백제래공모산성) : 백제가 모산성을 공격하였다.
命波珍?仇道出兵拒之(명파진찬구도출병거지) : 파진찬 구도로 하여금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방어하게 하였다.
六年秋七月(육년추칠월) : 6년 가을 7월,
仇道與百濟戰於狗壤(구도여백제전어구양) : 구도가 백제와 구양에서 싸워
勝之(승지) : 승리하였다.
殺獲五百餘級(살획오백여급) : 이 전투에서 5백여 명을 죽였다
七年秋八月(칠년추팔월) : 7년 가을 8월,,
百濟襲西境圓山鄕(백제습서경원산향) : 백제가 서쪽 국경 원산향을 습격하고
又進圍缶谷城(우진위부곡성) : 다시 진격하여 부곡성을 포위하였다.
仇道率勁騎五百擊之(구도율경기오백격지) : 구도가 정예 기병 5백 명을 거느리고 공격하자,
百濟兵佯走(백제병양주) : 백제 군사가 거짓으로 달아나는 체하였다.
仇道追及蛙山(구도추급와산) : 구도가 와산까지 추격하다가
爲百濟所敗(위백제소패) : 백제에게 패배하였다.
王以仇道失策(왕이구도실책) : 왕은 구도가 잘못했다고 하여
貶爲缶谷城主(폄위부곡성주) : 부곡성주로 강등시키고,
以薛支爲左軍主(이설지위좌군주) : 설지를 좌군주에 임명하였다.
八年秋九月(팔년추구월) : 8년 가을 9월,
蚩尤旗見于角亢(치우기견우각항) : 치우기 별이 각성 성좌와 항성 성좌에 나타났다.
九年春正月(구년춘정월) : 9년 봄 정월,
拜國良爲阿?(배국양위아찬) : 국량을 아찬에 임명하고,
述明爲一吉?(술명위일길찬) : 술명을 일길찬에 임명하였다.
四月(사월) : 4월,
京都雪深三尺(경도설심삼척) : 서울에 눈이 내렸는데 깊이가 석 자였다.
夏五月(하오월) : 여름 5월,
大水(대수) : 홍수가 나서
山崩十餘所(산붕십여소) : . 산이 10여 군데 무너졌다.
十年春正月甲寅朔(십년춘정월갑인삭) : 10년 봄 정월 초하루 갑인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三月(삼월) : 3월,
漢祇部女(한기부여) : 한기부 여인이
一産四男一女(일산사남일녀) : 한번에 아들 넷과 딸 하나를 낳았다.
六月(육월) : 6월,
倭人大饑(왜인대기) : 왜인 천여 명이 큰 기근으로 인하여
來求食者千餘人(래구식자천여인) :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왔다.
十一年夏六月乙巳晦(십일년하육월을사회) : 11년 여름 6월 그믐 을사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十三年春二月(십삼년춘이월) : 13년 봄 2월,
重修宮室(중수궁실) : 궁실을 중수하였다.
三月旱(삼월한) : 3월, 가뭄이 들었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 .
震宮南大樹(진궁남대수) : 대궐 남쪽 큰 나무에 벼락이 치고,
又震金城東門(우진김성동문) : 금성 동문에도 벼락이 쳤다.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
============================
010
제10대 나해 이사금 (奈解 尼師今 196~240 재위기간 34년)
柰解尼師今立(내해니사금입) : 나해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伐休王之孫也(벌휴왕지손야) : 그는 벌휴왕의 손자이다.
母內禮夫人(모내례부인) : 어머니는 내례부인이다.
妃昔氏(비석씨) : 왕비 석씨는
助賁王之妹(조분왕지매) : 조분왕의 누이이다.
容儀雄偉(용의웅위) : 왕은 용모와 풍채가 훌륭하였고
有俊才(유준재) : 재주가 뛰어났다.
前王太子骨正及第二子伊買先死(전왕태자골정급제이자이매선사) : 전 임금의 태자 골정과 둘째 아들 이매가 먼저 죽고
大孫尙幼少(대손상유소) : 장손이 아직 어렸으므로,
乃立伊買之子(내입이매지자) : 이매의 아들을 왕으로 세웠다.
是爲奈解尼帥今(시위내해니수금) : 이 사람이 나해 이사금이다.
是年(시년) : 이 해에
自正月至四月不雨(자정월지사월불우) : 봄 정월부터 4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다가,
及王卽位之日大雨(급왕즉위지일대우) : 왕이 즉위하던 날 큰 비가 내렸으므로
百姓歡慶(백성환경) : 백성들이 즐거워 하며 경축하였다.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 봄 정월,
謁始祖廟(알시조묘) : 왕이 시조묘에 참배하였다.
三年夏四月(삼년하사월) : 3년 여름 4월,
始祖廟前臥柳自起(시조묘전와류자기) : 시조묘 앞에 쓰러졌던 버드나무가 저절로 일어섰다.
五月(오월) : 5월,
國西大水(국서대수) : 서쪽 지방에 홍수가 나자
免遭水州縣一年租調(면조수주현일년조조) : 수재를 당한 주와 현에 1년의 세금을 면제하였고,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에
遣使撫問(견사무문) : 사신을 보내 위문하였다.
四年秋七月(사년추칠월) : 4년 가을 7월,
百濟侵境(백제침경) : 백제가 국경을 침범하였다.
五年秋七月(오년추칠월) : 5년 가을 7월,
太白晝見(태백주견) : 금성이 낮에 나타났다.
隕霜殺草(운상살초) : 서리가 내려 풀이 죽었다.
九月庚午朔(구월경오삭) : 9월 초하루 경오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大閱於閼川(대열어알천) : 알천에서 크게 군대를 사열하였다.
六年春二月(육년춘이월) : 6년 봄 2월,
加耶國請和(가야국청화) : 가야국이 화친을 청해왔다.
三月丁卯朔(삼월정묘삭) : 3월 초하루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정묘일에 일식이 있었다.
大旱(대한) : 가뭄이 들자,
錄內外繫囚(록내외계수) : 서울과 지방의 죄수들을 조사하여
原輕罪(원경죄) : 죄질이 가벼운 죄수는 석방하였다.
八年冬十月(팔년동십월) : 8년 겨울 10월,
靺鞨犯境(말갈범경) : 말갈이 국경을 침범하였다.
桃李華(도이화) : 복숭아와 오얏나무에 꽃이 피고,
人大疫(인대역) : 백성들 사이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.
十年春二月(십년춘이월) : 10년 봄 2월,
拜眞忠爲一伐?(배진충위일벌찬) : 진충을 일벌찬에 임명하여
以?國政(이참국정) : 국정에 참여시켰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霜雹殺穀(상박살곡) :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이 죽고,
太白犯月(태백범월) : 금성이 달을 범했다.
八月(팔월) : 8월,
狐鳴金城及始祖廟庭(호명김성급시조묘정) : 여우가 금성과 시조묘의 뜰에서 울었다.
十二年春正月(십이년춘정월) : 12년 봄 정월,
拜王子利音(배왕자이음) : 왕의 아들 이음을
(或云奈音(혹운내음) : ) [혹은 나음이라고도 한다.]
爲伊伐?兼知內外兵馬事(위이벌찬겸지내외병마사) : 이벌찬에 임명하고, 내외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十三年春二月(십삼년춘이월) : 13년 봄 2월,
西巡郡邑(서순군읍) : 왕이 서쪽의 군과 읍을 순찰하고
浹旬而返(협순이반) : 열흘 만에 돌아왔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
倭人犯境(왜인범경) : 왜인이 변경을 침범하므로,
遣伊伐?利音(견이벌찬이음) : 이벌찬 이음으로 하여금 군
將兵拒之(장병거지) : 사를 거느리고 가서 방어하게 하였다.
十四年秋七月(십사년추칠월) : 14년 가을 7월,
浦上八國謀侵加羅(포상팔국모침가라) : 바닷가의 여덟 나라가 공모하여 가라를 침범하자,
加羅王子來請救(가라왕자래청구) : 가라 왕자가 구원을 요청했다.
王命太子于老與伊伐?利音(왕명태자우로여이벌찬이음) : 왕이 태자 우로와 일벌찬 이음에게
將六部兵往救之(장육부병왕구지) : 6부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구원하게 하였다.
擊殺八國將軍(격살팔국장군) : 그들은 여덟 나라 장군을 죽이고,
奪所虜六千人還之(탈소노육천인환지) : 포로 6천 명을 잡아 돌아왔다.
十五年(십오년) : 15년,
春夏旱(춘하한) :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자
發使錄郡邑獄囚(발사녹군읍옥수) : 사신을 보내 군읍의 죄수들을 조사하여
除二死餘悉原之(제이사여실원지) : 두 종류의 사형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죄수는 모두 석방하였다.
十六年春正月(십육년춘정월) : 16년,봄 정월에
拜萱堅爲伊?(배훤견위이찬) : 훤견을 이찬에 임명하고
允宗爲一吉?(윤종위일길찬) : 윤종을 일길찬에 임명하였다.
十七年春三月(십칠년춘삼월) : 17년 봄 3월,
加耶送王子爲質(가야송왕자위질) : 가야가 왕자를 인질로 보내왔다.
夏五月(하오월) : 여름 5월,
大雨(대우) : 큰 비가 내려
漂毁民屋(표훼민옥) : 민가가 유실되었다.
十九年春三月(십구년춘삼월) : 19년 봄 3월,
大風折木(대풍절목) :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꺾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百濟來攻國西腰車城(백제래공국서요차성) : 백제가 서쪽 지방 요거성을 공격하여
殺城主薛夫(살성주설부) : 성주 설부를 죽였다.
王命伊伐?利音(왕명이벌찬이음) : 왕이 이벌찬 이음으로 하여금
率精兵六千伐百濟(솔정병육천벌백제) : 정병 6천을 거느리고 백제를 치게 하였다.
破沙峴城(파사현성) : 그들은 사현성을 격파하였다.
冬十二月雷(동십이월뢰) : 겨울 12월, 우레가 있었다.
二十三年秋七月(이십삼년추칠월) : 23년 가을 7월,
武庫兵物自出(무고병물자출) : 무기고의 병기가 저절로 밖으로 나왔다.
百濟人來圍獐山城(백제인래위장산성) : 백제가 장산성을 포위하였으므로 왕
王親率兵出擊走之(왕친솔병출격주지) : 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가서 이를 격퇴하였다.
二十五年春三月(이십오년춘삼월) : 25년 봄 3월,
伊伐?利音卒(이벌찬이음졸) : 이벌찬 이음이 사망하자
以忠萱爲伊伐?兼知兵馬事(이충훤위이벌찬겸지병마사) : 충훤을 이벌찬에 임명하고, 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大閱楊山西(대열양산서) : 양산 서쪽에서 크게 군대를 사열하였다.
二十七年夏四月(이십칠년하사월) : 27년 여름 4월,
雹傷菽麥(박상숙맥) : 우박이 내려 콩과 보리가 상했다.
南新縣人死(남신현인사) : 남신현에서는 사람이 죽었다가
歷月復活(력월부활) : 다음 달에 다시 살아났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百濟兵入牛頭州(백제병입우두주) : 백제 군사가 우두주에 들어 왔으므로
伊伐?忠萱將兵拒之(이벌찬충훤장병거지) : 이벌찬 충훤이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그들을 막으려 하였으나,
至熊谷爲賊所敗(지웅곡위적소패) : 웅곡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자
單騎而返(단기이반) :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다.
貶爲鎭主(폄위진주) : 왕은 그를 진주로 강등시키고
以連珍爲伊伐?兼知兵馬事(이연진위이벌찬겸지병마사) : 연진을 이벌찬에 임명하여 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二十九年秋七月(이십구년추칠월) : 29년 가을 7월,
伊伐?連珍與百濟戰烽山下破之(이벌찬연진여백제전봉산하파지) : 이벌찬 연진이 백제와 전투를 하였다. 그는 봉산 아래에서 백제병을 격파하고
殺獲一千餘級(살획일천여급) : 1천여 명을 죽였다.
八月(팔월) : 8월,
築烽山城(축봉산성) : 봉산성을 쌓았다.
三十一年(삼십일년) : 31년,
春不雨(춘불우) : 봄에 비가 내리지 않다가
至秋七月乃雨(지추칠월내우) : 가을 7월에 이르러서야 비가 내렸다.
民飢(민기) : 백성들이 굶주리므로
發倉?賑給(발창름진급) :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錄內外獄囚(녹내외옥수) : 서울과 지방의 죄수를 조사하여
原輕罪(원경죄) : 죄질이 가벼운 자는 석방하였다.
三十二年春二月(삼십이년춘이월) : 32년 봄 2월,
巡狩西南郡邑(순수서남군읍) : 왕이 서남쪽 군읍을 순행하다가
三月還(삼월환) : 3월에 돌아왔다.
拜波珍?康萱爲伊?(배파진찬강훤위이찬) : 파진찬 강훤을 이찬에 임명하였다.
三十四年夏四月(삼십사년하사월) : 34년 여름 4월,
蛇鳴南庫三日(사명남고삼일) : 뱀이 남쪽 창고에서 사흘 동안 울었다.
秋九月(추구월) : 가을 9월,
地震(지진) : 지진이 있었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大雪深五尺(대설심오척) : 눈이 크게 내려 다섯 자나 쌓였다.
三十五年春三月(삼십오년춘삼월) : 35년 봄 3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===============
010
제10대 나해 이사금 (奈解 尼師今 196~240 재위기간 34년)
柰解尼師今立(내해니사금입) : 나해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.
伐休王之孫也(벌휴왕지손야) : 그는 벌휴왕의 손자이다.
母內禮夫人(모내례부인) : 어머니는 내례부인이다.
妃昔氏(비석씨) : 왕비 석씨는
助賁王之妹(조분왕지매) : 조분왕의 누이이다.
容儀雄偉(용의웅위) : 왕은 용모와 풍채가 훌륭하였고
有俊才(유준재) : 재주가 뛰어났다.
前王太子骨正及第二子伊買先死(전왕태자골정급제이자이매선사) : 전 임금의 태자 골정과 둘째 아들 이매가 먼저 죽고
大孫尙幼少(대손상유소) : 장손이 아직 어렸으므로,
乃立伊買之子(내입이매지자) : 이매의 아들을 왕으로 세웠다.
是爲奈解尼帥今(시위내해니수금) : 이 사람이 나해 이사금이다.
是年(시년) : 이 해에
自正月至四月不雨(자정월지사월불우) : 봄 정월부터 4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다가,
及王卽位之日大雨(급왕즉위지일대우) : 왕이 즉위하던 날 큰 비가 내렸으므로
百姓歡慶(백성환경) : 백성들이 즐거워 하며 경축하였다.
二年春正月(이년춘정월) : 2년 봄 정월,
謁始祖廟(알시조묘) : 왕이 시조묘에 참배하였다.
三年夏四月(삼년하사월) : 3년 여름 4월,
始祖廟前臥柳自起(시조묘전와류자기) : 시조묘 앞에 쓰러졌던 버드나무가 저절로 일어섰다.
五月(오월) : 5월,
國西大水(국서대수) : 서쪽 지방에 홍수가 나자
免遭水州縣一年租調(면조수주현일년조조) : 수재를 당한 주와 현에 1년의 세금을 면제하였고,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에
遣使撫問(견사무문) : 사신을 보내 위문하였다.
四年秋七月(사년추칠월) : 4년 가을 7월,
百濟侵境(백제침경) : 백제가 국경을 침범하였다.
五年秋七月(오년추칠월) : 5년 가을 7월,
太白晝見(태백주견) : 금성이 낮에 나타났다.
隕霜殺草(운상살초) : 서리가 내려 풀이 죽었다.
九月庚午朔(구월경오삭) : 9월 초하루 경오일에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일식이 있었다.
大閱於閼川(대열어알천) : 알천에서 크게 군대를 사열하였다.
六年春二月(육년춘이월) : 6년 봄 2월,
加耶國請和(가야국청화) : 가야국이 화친을 청해왔다.
三月丁卯朔(삼월정묘삭) : 3월 초하루
日有食之(일유식지) : 정묘일에 일식이 있었다.
大旱(대한) : 가뭄이 들자,
錄內外繫囚(록내외계수) : 서울과 지방의 죄수들을 조사하여
原輕罪(원경죄) : 죄질이 가벼운 죄수는 석방하였다.
八年冬十月(팔년동십월) : 8년 겨울 10월,
靺鞨犯境(말갈범경) : 말갈이 국경을 침범하였다.
桃李華(도이화) : 복숭아와 오얏나무에 꽃이 피고,
人大疫(인대역) : 백성들 사이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.
十年春二月(십년춘이월) : 10년 봄 2월,
拜眞忠爲一伐?(배진충위일벌찬) : 진충을 일벌찬에 임명하여
以?國政(이참국정) : 국정에 참여시켰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霜雹殺穀(상박살곡) :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이 죽고,
太白犯月(태백범월) : 금성이 달을 범했다.
八月(팔월) : 8월,
狐鳴金城及始祖廟庭(호명김성급시조묘정) : 여우가 금성과 시조묘의 뜰에서 울었다.
十二年春正月(십이년춘정월) : 12년 봄 정월,
拜王子利音(배왕자이음) : 왕의 아들 이음을
(或云奈音(혹운내음) : ) [혹은 나음이라고도 한다.]
爲伊伐?兼知內外兵馬事(위이벌찬겸지내외병마사) : 이벌찬에 임명하고, 내외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十三年春二月(십삼년춘이월) : 13년 봄 2월,
西巡郡邑(서순군읍) : 왕이 서쪽의 군과 읍을 순찰하고
浹旬而返(협순이반) : 열흘 만에 돌아왔다.
夏四月(하사월) : 여름 4월,
倭人犯境(왜인범경) : 왜인이 변경을 침범하므로,
遣伊伐?利音(견이벌찬이음) : 이벌찬 이음으로 하여금 군
將兵拒之(장병거지) : 사를 거느리고 가서 방어하게 하였다.
十四年秋七月(십사년추칠월) : 14년 가을 7월,
浦上八國謀侵加羅(포상팔국모침가라) : 바닷가의 여덟 나라가 공모하여 가라를 침범하자,
加羅王子來請救(가라왕자래청구) : 가라 왕자가 구원을 요청했다.
王命太子于老與伊伐?利音(왕명태자우로여이벌찬이음) : 왕이 태자 우로와 일벌찬 이음에게
將六部兵往救之(장육부병왕구지) : 6부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구원하게 하였다.
擊殺八國將軍(격살팔국장군) : 그들은 여덟 나라 장군을 죽이고,
奪所虜六千人還之(탈소노육천인환지) : 포로 6천 명을 잡아 돌아왔다.
十五年(십오년) : 15년,
春夏旱(춘하한) :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자
發使錄郡邑獄囚(발사녹군읍옥수) : 사신을 보내 군읍의 죄수들을 조사하여
除二死餘悉原之(제이사여실원지) : 두 종류의 사형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죄수는 모두 석방하였다.
十六年春正月(십육년춘정월) : 16년,봄 정월에
拜萱堅爲伊?(배훤견위이찬) : 훤견을 이찬에 임명하고
允宗爲一吉?(윤종위일길찬) : 윤종을 일길찬에 임명하였다.
十七年春三月(십칠년춘삼월) : 17년 봄 3월,
加耶送王子爲質(가야송왕자위질) : 가야가 왕자를 인질로 보내왔다.
夏五月(하오월) : 여름 5월,
大雨(대우) : 큰 비가 내려
漂毁民屋(표훼민옥) : 민가가 유실되었다.
十九年春三月(십구년춘삼월) : 19년 봄 3월,
大風折木(대풍절목) :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꺾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百濟來攻國西腰車城(백제래공국서요차성) : 백제가 서쪽 지방 요거성을 공격하여
殺城主薛夫(살성주설부) : 성주 설부를 죽였다.
王命伊伐?利音(왕명이벌찬이음) : 왕이 이벌찬 이음으로 하여금
率精兵六千伐百濟(솔정병육천벌백제) : 정병 6천을 거느리고 백제를 치게 하였다.
破沙峴城(파사현성) : 그들은 사현성을 격파하였다.
冬十二月雷(동십이월뢰) : 겨울 12월, 우레가 있었다.
二十三年秋七月(이십삼년추칠월) : 23년 가을 7월,
武庫兵物自出(무고병물자출) : 무기고의 병기가 저절로 밖으로 나왔다.
百濟人來圍獐山城(백제인래위장산성) : 백제가 장산성을 포위하였으므로 왕
王親率兵出擊走之(왕친솔병출격주지) : 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가서 이를 격퇴하였다.
二十五年春三月(이십오년춘삼월) : 25년 봄 3월,
伊伐?利音卒(이벌찬이음졸) : 이벌찬 이음이 사망하자
以忠萱爲伊伐?兼知兵馬事(이충훤위이벌찬겸지병마사) : 충훤을 이벌찬에 임명하고, 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秋七月(추칠월) : 가을 7월,
大閱楊山西(대열양산서) : 양산 서쪽에서 크게 군대를 사열하였다.
二十七年夏四月(이십칠년하사월) : 27년 여름 4월,
雹傷菽麥(박상숙맥) : 우박이 내려 콩과 보리가 상했다.
南新縣人死(남신현인사) : 남신현에서는 사람이 죽었다가
歷月復活(력월부활) : 다음 달에 다시 살아났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百濟兵入牛頭州(백제병입우두주) : 백제 군사가 우두주에 들어 왔으므로
伊伐?忠萱將兵拒之(이벌찬충훤장병거지) : 이벌찬 충훤이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그들을 막으려 하였으나,
至熊谷爲賊所敗(지웅곡위적소패) : 웅곡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자
單騎而返(단기이반) :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다.
貶爲鎭主(폄위진주) : 왕은 그를 진주로 강등시키고
以連珍爲伊伐?兼知兵馬事(이연진위이벌찬겸지병마사) : 연진을 이벌찬에 임명하여 병마사를 겸하게 하였다.
二十九年秋七月(이십구년추칠월) : 29년 가을 7월,
伊伐?連珍與百濟戰烽山下破之(이벌찬연진여백제전봉산하파지) : 이벌찬 연진이 백제와 전투를 하였다. 그는 봉산 아래에서 백제병을 격파하고
殺獲一千餘級(살획일천여급) : 1천여 명을 죽였다.
八月(팔월) : 8월,
築烽山城(축봉산성) : 봉산성을 쌓았다.
三十一年(삼십일년) : 31년,
春不雨(춘불우) : 봄에 비가 내리지 않다가
至秋七月乃雨(지추칠월내우) : 가을 7월에 이르러서야 비가 내렸다.
民飢(민기) : 백성들이 굶주리므로
發倉?賑給(발창름진급) :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錄內外獄囚(녹내외옥수) : 서울과 지방의 죄수를 조사하여
原輕罪(원경죄) : 죄질이 가벼운 자는 석방하였다.
三十二年春二月(삼십이년춘이월) : 32년 봄 2월,
巡狩西南郡邑(순수서남군읍) : 왕이 서남쪽 군읍을 순행하다가
三月還(삼월환) : 3월에 돌아왔다.
拜波珍?康萱爲伊?(배파진찬강훤위이찬) : 파진찬 강훤을 이찬에 임명하였다.
三十四年夏四月(삼십사년하사월) : 34년 여름 4월,
蛇鳴南庫三日(사명남고삼일) : 뱀이 남쪽 창고에서 사흘 동안 울었다.
秋九月(추구월) : 가을 9월,
地震(지진) : 지진이 있었다.
冬十月(동십월) : 겨울 10월,
大雪深五尺(대설심오척) : 눈이 크게 내려 다섯 자나 쌓였다.
三十五年春三月(삼십오년춘삼월) : 35년 봄 3월,
王薨(왕훙) : 왕이 붕어하였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18. 태도서관, 정보의 밭. 씨앗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.pdf (0) | 2020.12.09 |
---|---|
호밀밭의 파수꾼 텍본 (1) | 2020.12.09 |
소학 원문 해석 hwp (0) | 2020.12.08 |
한비자.pdf (0) | 2020.12.08 |